일종의 경고사인인데 경기가 'L'자형의 장기 침체로 이어지는 양상이 점차 확연해지자 여신자산의 부실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포석이다. 우리은행은 부실여신 비율이 1.77%(6월말 기준)로 여타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편이다.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전국 1,050여개의 지점 중 대출이 나간 지 1년도 되지 않아 부실이 났거나 부실여신의 규모가 큰 지점 11곳을 선정한 뒤 해당 지점장을 후선발령(지점장 자격을 박탈하고 다른 업무를 부여)내거나 경고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또 지난 6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모두 300명의 지점장에게는 '주의공문'도 보냈다. 여신 관리를 못할 경우 징계를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예컨대 기업의 신용등급을 지점에서 임의로 수정한 뒤 해당 기업 관련 부실여신이 생기면 지점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 등 징계를 받을 수 있는 7가지 항목도 구체적으로 공지했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경기도 좋지 않고 최근 감사원의 지적이나 대출서류 조작 등이 적발되자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하기 위한 취지였다"고 말했다.
더욱이 우리은행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77%(6월 말 기준)로 올 3월 말(1.88%)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신한은행(1.31%)이나 국민은행(1.64%) 등 경쟁 은행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다는 점도 감안했다. 경기가 악화되면 부실이 더 늘 수밖에 없는데 이를 사전에 관리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우리은행은 올 2∙4분기에도 8,151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는데 그만큼 부실관리가 미흡하다는 내부의 평가도 반영된 조치라는 설명이다.
다만 우리은행 관계자는 "충당금의 상당 부분은 덩치가 큰 성동조선 등 조선업과 건설사 관련 비중이 높았다"면서 "영업점의 여신 관리에 고삐를 조이면 중소기업 대출에도 영향은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