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北核해법 ‘5+2 협의체’ 부상
입력2003-01-15 00:00:00
수정
2003.01.15 00:00:00
이영섭 기자
북한과 미국이 대좌하지 않으면서 북한 핵위기가 고조되자 다자 협의체를 구성, 위기를 해소하자는 방안이 일본 러시아 등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일본이 추진중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5개 국과 한국 일본이 참여하는 `5+2`협의체 구상이 대표적 사례다.
하지만 정부는 이 구도가 우리의 외교전략에 걸림돌이 될수도 있다며 조심스런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선언이후 5+2 협의체 구상에 관한 국제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있다.
9일 러ㆍ일 정상회담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이 구상을 설명, 공감을 얻어냈다.
최근 외무장관을 한국 중국 러시아에 보내 다자협의체 구상을 개진했던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도 13일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무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5+2 구상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혔다.
일본의 5+2 구상은 내용상으로 두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먼저 북한 문제가 안보리에 회부되면 안보리 이사국이 아닌 일본이 안보리 논의에 반드시 참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남북한 미국 중국등만이 참여하는 기존의 4자회담을 이 협의체로 대체, 한반도 문제를 다루는 상설 다자기구로 격상시키겠다는 포석을 담고 있다. 그간 북한 문제에 그다지 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던 일본 러시아 프랑스가 이 구상에 가장 적극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 해결 원칙을 견지해 온 우리 정부는 이런 논의가 우리에게 반드시 득이 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김성한(金聖翰)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며 “논의 주체가 많아지는 것은 우리가 설득해야 할 대상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다자협의체 구상이 결코 미국에도 유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이 구상이 힘을 얻을 경우 영향력 축소를 우려하는 미국이 다자협의체 구성의 빌미가 되고 있는 북미 대화 부재 상황을 타개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에는 주목하고 있다.
<이영섭기자 younglee@hk.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