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선진국 사례로 본 유연근무제 확산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유연 근무제의 한 형태인 재택근무제는 미국 기업의 51.0%가 도입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도입률이 1.4%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제는 근로자가 필요에 따라 사무실로 출근을 하지 않고 근무하는 형태다.
한마디로 미국 기업 10곳 가운데 5곳이 재택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반면 우리 기업은 1곳 밖에 안 된다는 설명이다.
유연근무제를 또 다른 형태별로 살펴보면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경우 국내 도입률은 6.1%로 51.3%, 40.0%를 기록한 일본, 독일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일감이 많을 때는 근로시간을 늘리고 일감이 적을 때는 줄이는 제도를 말한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도 국내 기업 활용률은 3.3%에 그쳤다. 이는 미국(54.0%)의 10분 1에도 못 미치고 독일(33.0%), 영국(9.4%) 등 주요 선진국 모두에 뒤쳐지는 수치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근무 형태로 일ㆍ가정 양립을 원하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
또 영국 기업의 88.0%가 활용하고 있는 시간제 근무제(part time)도 국내기업의 2.0%만이 도입하고 있었다.
대한상의는 유연근무제 활용률이 낮은 원인을 “그동안 우리나라의 고용구조가 남성ㆍ풀타임(full-time)ㆍ정규직 근로자 중심으로 이뤄져왔기 때문”이라며 “여성과 청년 고용률을 낮추는 이와 같은 고용구조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국내 노동시장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