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23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초청 금감원 부서장 교육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이 너무 망가졌다. 금융회사를 바꾸려면 모멘텀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소장은 KB금융에 대해서는 주주총회 현장에 주기적으로 참석할 계획이며 필요할 때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를 동원해 주주제안이나 주주대표소송 등 상법상 보장된 소액주주권을 모두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KB금융 회장 선임을 위한 주총에 참석해 회장 후보가 2만5,00명의 거대 조직을 운영할 경영능력이 있는지 설명할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면서 "주주들이 반대한 후보에 대해서는 주주제안이나 대표소송도 내겠다"고 말했다.
그는 "주주가 최고경영자(CEO)와 사외이사를 뽑을 수 없고 주인 아닌 사람이 주인 행세를 하는 상태에서는 변화 자체가 불가능하다"면서 "법률적으로 권한을 가진 주주의 자격으로 변화가 필요한 금융회사의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겠다. 내분을 겪은 KB금융을 지켜보면서 주주로서 할 수 있는 것은 다하겠다"고 말했다.
비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국내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김 소장은 "금융지주회사는 금융산업 트렌드에서 가장 현대화된 조직모델로 정보 공유와 임원 겸직을 통해 사실상 하나의 조직처럼 경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취지이지만 국내에선 제대로 운영할 수 없게 됐다"면서 "뜻이 맞는 회장과 행장이 자율적으로 경영할 수 있게 해주고 결과에 대해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가야 하지만 국내에선 하나의 조직 내 2개의 의사결정기구가 존재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KB금융은 국민은행 지분 100%를 보유하고 국민은행은 그룹 전체 자산의 90%를 갖고 있어 한 조직이나 다름없으나 회장과 행장을 각기 다른 경로로 뽑고 사전적으로 제약하다 보니 싸움만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금융 당국의 역할론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김 소장은 "금융권 변화를 위해선 금융감독 당국이 적극적으로 재량권을 행사하는 게 중요하다. 다만 과정과 결론에 이르게 된 근거에 대해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