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은 22일 데스크톱 가상화 구축을 위한 착수식을 갖고 오는 5월 노후된 컴퓨터 1,800여대를 시작으로 2015년에는 사업장 내 1만2,000여대의 모든 PC를 없앨 계획이라고 밝혔다.
데스크톱 가상화 사업은 데이터센터의 서버에 가상의 PC를 만들어 놓고 자신의 PC처럼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임직원들은 서버에 접속한 뒤 언제 어디서나 작업할 수 있게 돼 업무 연속성과 효율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박 건조 현장에서 태블릿 PC나 모니터 역할을 하는 가상화 단말기(제로클라이언트)를 이용해 서버에서 필요한 자료를 불러와 작업한 뒤 사무실로 돌아와 해당 문서나 파일을 그대로 열어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작업 중인 기기에는 정보가 저장되지 않고 서버 사용권한도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어 보안도 한층 강화된다.
또 PC 유지보수 비용과 전력사용량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PC 본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사라져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황시영 현대중공업 부사장(통합전산실장)은 “가상화 사업으로 모든 직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내 사무실처럼 일할 수 있는 스마트 오피스가 실현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3월 세계 최초로 ‘스마트십’을 건조해 인도했고 10월에는 사업장에 LTE 통신망을 구축하는 등 정보기술(IT)과 조선기술을 접목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