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통계청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0세 이상 산모의 출산아는 전년(9,291명) 대비 14.5% 증가해 1만635명을 기록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1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인데 10년 전인 2001년(5,445명)과 비교해보면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그중 50세 이상 산모도 66명에 달하는데 이전 16년 사이 최고치다. 이 같은 증가세는 6년째 이어진 것이어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보인다. 전체 신생아 중 40세 이상 엄마가 낳은 신생아 비율도 지난해 처음 2%선을 돌파해 2.26%를 기록했다.
신생아의 부친 역시 평균 연령이 오르면서 지난해 신생아 아버지 10명당 1명꼴로 40세를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40세 이상 아버지를 둔 신생아는 지난해 전체 신생아의 9.77%(4만6,052명)에 달했다. 이 같은 비중은 해당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4.81%, 2만3,602명)의 두 배를 넘어선 수준이다.
중년 부모의 출산이 늘어나는 것은 기본적으로 가정을 꾸리는 시기가 늦어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학 진학률이 한때 80%를 넘어설 정도여서 젊은이들이 취업문을 두드리는 시기가 늦어지고 그나마도 경제위기 등으로 직장을 구하지 못하거나 직업을 구해도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아 결혼자금 마련이 늦어지는 것이다.
초혼 연령을 보면 산모가 될 여성의 경우 지난해 평균 29.1세로 서른 줄에 들어섰다. 이렇게 결혼해도 뛰는 집값, 미래 자녀양육비 등을 마련하기 위해 맞벌이를 전전하다 보면 자연스레 출산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늦둥이를 낳으면 자녀가 출가해 독립하는 시기도 늦어져 부모로서는 은퇴 후 생활자금을 모을 여유를 얻기 힘들 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