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총괄기구 설립이 국회에서 발목이 묶이면서 관련 기관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통합을 고려해 전산 투자나 채용·홍보 등을 차일피일 미뤄왔지만 정작 통합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가 제출한 서민금융진흥원 출범과 관련한 '휴면예금관리에관한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표류하고 있다. 법 개정을 시작한 지는 2년, 통합 준비 사무국이 출범한 지도 1년이 훌쩍 넘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미소금융중앙재단과 신용회복위원회·국민행복기금 등 뿔뿔이 흩어져 있는 서민금융 관련 기관들을 하나로 통합,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금융위가 추진 중인 사안이다.
통합 지연으로 관계 기관들의 업무에도 크고 작은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미소금융과 신복위의 경우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전산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고 있다. 신복위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 PC 접속자 수를 모바일 접속자가 추월했지만 통합기구가 설립되면 어떻게 될지 몰라 지난 2011년 만든 모바일 홈페이지 개선에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합을 앞둔 상황에서 마음대로 인원을 늘릴 수도 없다. 전국 168개 지점을 통해 휴면예금을 통해 창업자금을 지원해주는 미소금융은 2008년 출범할 당시의 인원 50명이 지금도 그대로다. 지난해 4명의 신입사원을 뽑은 것이 설립 이후 첫 채용이었고 올해는 이마저 뽑지 못했다. 신복위는 없는 인원에 지방자치단체와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고용복지 플러스센터'에도 직원들을 파견하고 있는데 상담 인력이 부족해 본사에서 다른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까지 매주 지방 출장을 다니는 실정이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말부터 3개 기관 직원이 상주하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있지만 힘을 받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한 센터 관계자는 "지난달 문을 연 대전 센터는 당초 1·4분기 문을 열 예정이었으나 수개월이 미뤄진 끝에 문을 열었다"며 "이미 오픈한 센터도 초기 홍보 예산이 많이 필요한데 따로 배정된 예산이 없어 각 기관으로부터 갹출 받아 광고를 했으나 중단한 상태"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