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식(사진) 산은금융지주 수석부사장은 "산은지주가 기업공개(IPO)를 올해 말까지 원활히 마치기 위해서는 6월 임시국회에서는 정부의 보증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주 부사장은 15일 서울시내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외국인 채권자의 동의, 상장예비심사, 정부의 인허가 등 IPO에 필요한 절차를 감안하면 시간이 촉박하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산은지주는 지난 2009년 개정된 산업은행법에 따라 올해 말까지 정부지분 10% 이상을 상장할 계획이다. 현행 산은법은 오는 2014년 5월까지 정부가 보유한 산은지주 주식을 1주 이상 매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부는 IPO 외에도 산은지주 주식의 농협 현물출자를 위해 국회의 보증동의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6월 국회는 법안처리보다 원구성에 주력해야 하고 민주당 등 야당에서 산은지주 민영화에 반대하고 있어 보증동의안이 처리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 경우 정부의 농협 현물출자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주 부사장은 '산은지주 민영화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는 지적에 "IPO는 민영화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면서도 "IPO가 곧 민영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그는 "이번 IPO는 2009년 여야 합의사항으로 개정된 산은법을 이행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싱가포르 DBS은행, 중국 공상은행(ICBC) 등도 IPO를 통해 글로벌 플레이어로 도약했다"며 "DBS은행처럼 IPO 이후 기업투자금융(CIB) 부문의 강점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에 적극 진출할 것"이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주 부사장은 현재 민영화를 추진 중인 우리금융인수 참여 여부에 관련해 "관심이 없다"며 부인했고 영업정지된 솔로몬저축은행 등 저축은행 인수에 대해서도 "전혀 검토한 바 없다"고 일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