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달 말부터 한 달 일정으로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 현대카드 등을 대상으로 종합검사에 착수했다. 종합검사는 특정 사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특별검사와는 달리 2년마다 이뤄진다. 때문에 금융회사는 특별검사보다 종합검사에 덜 긴장한다. 국세청으로 따지면 정기세무조사와 같은 맥락인 탓이다.
하지만 현재 이뤄지고 있는 종합검사는 이전과 달라 금융회사들이 바짝 긴장하는 눈치다. 강도가 높다는 이유에서다. 30명 가량의 인력이 파견된 것으로 알려진 신한은행 검사에는 검사팀장을 비롯해서 검사인력 대부분이 다른 은행 담당자들이 투입됐다. 검사팀장은 KB국민은행 담당이고, 검사인력의 상당수가 하나은행을 검사해 왔던 인력으로 구성된 것이다. 종합검사인 만큼 한국은행도 함께 공동검사를 벌이고 있다. 서류의 요구 수준도 높고, 검사와 무관한 교류나 접촉도 없다. 엄격한 검사를 위해 불필요한 접촉 등을 차단하겠다는 의도이다.
금융계에서는 올해 양도성예금(CD)금리 담합 의혹을 비롯해 학력에 따른 금리 차별, 고객 계좌 무단 열람 등 금융관련 사고가 유난히 많았던 탓에 금감원 검사가 더 깐깐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신한은행의 종합검사 흐름을 유심히 보고 있다”면서 “종합검사의 대상이 어디로까지 확대될지 모르기 때문에 여러 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금감원 관계자는 “국정감사에서 수 차례 지적됐듯 은행권의 금융사고가 빈번했기 때문에 (종합검사 후)대책을 마련해 새해부터는 금융사고가 없도록 하려는 취지”라면서 “종합검사가 딱히 엄격해지진 않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