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가의 ‘검은 공생’이 만든‘뒷북’ 보고서 개인투자자 '쪽박' 찬 이유 알고보니… 암울한 실상 자료사진=서울경제DB 증권가의 뿌리 깊은 ‘검은 공생’이 개미들을 울린다. 기업에 대한 투자리포트를 만든 증권사들이 이 내용을 자산운용사 등 기관 고객에게 미리 전해줘 ‘주가 오염’구조를 형성하면서 당초 목표주가와 실제 주가가 정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증권사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높인 235건(중복 포함) 중 10거래일 뒤 주가가 내린 사례는 63%(148건)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목표주가 상향 조정 이후 주가가 오른 것은 37%(87건)에 그쳤다. 목표가를 조정한 지 10거래일 이후 평균 수익률은 -4.14%였다. 증권사가 장밋빛 미래를 제시했음에도 주가는 되레 급락한 셈이다. 목표주가 인상 전 수익률은 오히려 양호했다. 상향 조정 10거래일 전과 조정 당일 주가를 비교했을 때 상승이 59%(138건), 변동 없거나 내린 사례는 41%(97건)였다. 이 기간 평균 수익률은 1.11%였다. 결과적으로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뒤지는 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의 투자보고서를 믿고 해당 종목을 샀다면 손해봤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기업분석 보고서 발표 전에 주가가 치솟다가 막상 목표치를 올리고서 주가가 내려가는 ‘기현상’이 빈발하는 것은 애널리스트의 정보와 기업분석 보고서가 운용사 펀드매니저 등에게 사전에 전달돼 운용 펀드나 기금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활용됐기 때문이다. 실제 기관 매니저들은 메신저 등을 통해 거의 실시간으로 애널리스트가 제공하는 정보를 받아본다. 하지만 정보력이 떨어지는 개인은 이런 서비스 제공 대상에서 배제돼 주가가 오를 때 뒤따라 사고, 내릴 때 뒤늦게 파는 악순환에 빠져들기 십상이다. 여의도 증권가에서는 애널리스트와 매니저 사이에 부적절한 거래가 공공연하게 이뤄지는 경우도 흔하다. 가장 많은 유착 방식은 애널리스트가 기업탐방 결과나 기업 내부 정보를 펀드매니저에게 먼저 흘려주는 것. 펀드 매니저는 이 정보를 이용해 해당 종목을 미리 매수하고 실제 분석 보고서가 나오거나 재료가 알려져 주가가 오르면 그때 주식을 처분해 쉽게 차익을 얻는다.이들은 설명회와 기업탐방 동행, 전화콜 서비스 등을 통해 수시로 접촉하면서 의견을 나눈다. 증권사 법인브로커의 접대 자리에 매니저와 애널리스트가 동석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매니저와 애널리스트가 자주 교류하다 보면 직업적 관계를 떠나 사적으로 친해지기도 한다. 호형호제하는 사이가 되고 나면 윤리의식이 실종돼 사전정보 제공과 미공개 정보 교류 등 위법 행위가 거리낌 없이 이뤄진다"고 전했다. 중앙대 경영학과 김동순 교수는 "증권사의 갑인 기관투자가는 항상 정보 우위에 있지만 개인은 정보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증권사와 기관 간 유착이 계속되면 개인만 피해를 보게 된다"며 대대적인 개혁을 주문했다. /온라인뉴스부 '그들만의 돈잔치' 대체 어느 정도였기에 결국…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