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호르몬 조절 '생체 스위치' 규명<br>생체신호 전달하는 핵심 효소의 존재 확인<br>암유발 메커니즘 새 패러다임도 국제학계 제시<br>당뇨등 대사성 질환 치료 연구에 큰 도움 기대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상을 수상한 서판길(사진 왼쪽에 두 번째) 포항공대 교수가 소속 연구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
| 그림과 같이 성장 호르몬에 의해 'Jak2'와 'STAT5'단백질은 활성화(ON) 과정을 거쳐 성장 유전자 발현 및 대사 작용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PLC-γ1(그림 상 P)은 Jak2 및 'PTP-1B'와의 다중 결합이 이뤄질 경우 활성화된 Jak2와 STAT5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억제(OFF)한다. 이를 통해 서 교수는 PLC-γ1은 성장 호르몬 신호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
|
'발상의 전환'이 세계적 연구 성과를 도출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의 영예를 거머쥔 서판길 포항공대(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마치 전기를 제어하는 스위치처럼 사람 몸 속에도 세포의 성장과 발육을 조절하는 이른바 '생체 스위치'가 존재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쥐 세포를 유전자 변형으로 조작, 수 많은 실험 끝에 실제 인체 성장과 노화를 관장하고 생체 기능의 많은 부분과 연관된 생체 스위치의 존재를 발견했다.
복잡한 인체 구조 만큼이나 다소 복잡한 이름을 가진 '포스파리파제C-감마1(PLCγ1)'이라는 효소가 그것이었다. 서 교수는 'PLCγ1'이 'PTP-1B'와 결합할 때 뇌에서 분비된 성장호르몬의 신호전달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 교수에 따르면 사람의 몸은 생체 신호 전달이라는 개념이 있어야만 설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는 "화살표를 따라 움직이는 단순한 일련과정이 아닌, 분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신호를 활성화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체내에 존재하고 있다"며 "따라서 이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분자가 분명 존재할 것이라고 연구 당시 굳게 믿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서 교수는 생체 신호 전달의 핵심 효소로 알려진 '포스파리파제C(PLC)'의 동위 효소를 분리 정제해 유전자를 복제하는 식으로 자신의 믿음을 검증해갔다. 이 과정에서 'PLCγ1'이 성장 인자 등에 의해 활성화하고 세포 내 인지질을 가수분해해 2차 신호 전달물질을 생성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서 교수는 "유전자 적출 쥐를 통해 실험한 결과 세포성장에 관여하는 PLCγ1이 PTP-1B와 결합할 때 신호전달이 잘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유전자 PLC-γ1을 매개로 하는 다중 결합체 형성은 성장 호르몬 신호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신호 전달 조절 장치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또 'PLCγ1'이 단백질 결합을 통해 세포의 성장 신호를 증폭, 암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점을 함께 규명, 암을 유발하는 매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국제 학계에 제시했다. 이 같은 연구성과는 지난해 발표되자 마자 세계적 과학저널인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11월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뿐만 아니라 서 교수는 지난 89년 포항공대에 부임한 이후 지금까지 ▦세포의 신호전달 관련 단백질의 정체 규명 ▦신경세포에서의 신호전달 기전 연구 ▦성장인자에 의한 암 발생 기전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총 180여편의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 약 6,000회의 피인용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서 교수는 "성장호르몬이 세포로 전달돼 성장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지만 구체적인 과정은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다"며 "호르몬 과다 분비가 원인인 암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치료 연구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