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지식기반 전문직과 경력직의 수요는 증가하지만 단순사무직 및 단순생산직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시장개방이 가속화되면서 마케팅ㆍ브랜드ㆍ연구개발(R&D) 관련 전문가의 인기가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 7~9월 한미 FTA 이후 달라질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해 학계ㆍ협회ㆍ기업체 등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고용정보원은 한미 FTA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기술력 위주의 구조조정에 나서고 시장개방이 가속화되면서 모든 분야에 걸쳐 마케팅ㆍ브랜드ㆍR&D 전문가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들을 스카우트하려는 헤드헌터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기업간 인수합병(M&A)이 가속화되면서 M&A 전문가의 수요가 늘고 국제행사ㆍ업무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호텔업계 마케팅 전문가나 홍보전문가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울러 모든 산업분야에서 영어능력을 포함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전문성ㆍ창의성 등이 한층 더 요구되면서 기업들의 채용방식도 정시ㆍ공채보다 경력직 위주의 수시채용방식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분야별로 금융분야에서는 자산운용ㆍ위험관리 전문인력의 수요가 증가하지만 보조업무 및 단순사무직은 일부 구조조정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분야에서는 수입차 시장 확대로 자동차정비원ㆍ자동차품질검사원 등 애프터마켓의 인력수요가 늘어나는 반면 자동차부품을 제외한 자동차조립원 등 생산직 근로자의 수요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또 문화분야에서는 기획 등 전문인력과 마케팅 인력의 수요가 늘고 법률서비스 분야에서는 경력직 변호사 법률관련 사무원, 변리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 기계분야의 해외영업원, 환경분야 환경컨설턴트, 섬유분야 상품기획자 등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