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부터 개성공단 상주인력의 철수가 시작된 가운데 입주업체당 최대 70%의 인력까지 축소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실상 정상가동마저 불가능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로 납기 지연이나 주문 취소사태가 속출하는 등 북한의 ‘12ㆍ1 조치’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개성공단 일부 입주업체들은 최근 북한측으로부터 상주인력을 50~70%까지 축소하라는 통보를 받고 철수직원 분류와 생산일정 재조정, 현지공장 생산제품 점검 등 비상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A식품업체 대표는 “전체적으로 상주 인력을 70%까지 줄인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이렇게 되면 공장 가동이 불가능한 수준이 된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당초 북한측이 개성공단 기업 활동만큼은 보장해준다는 얘기를 했었다”며 “불과 며칠 전에 한 약속도 지키지 않는다면 더 이상 신뢰하기가 어렵다”고 비난했다. 이번 북한의 상주인력 감축조치는 일단 거주체류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90일에서 최대 3년까지 체류가 가능한 거주체류증 소지자는 3일 전까지 입경을 신청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상주할 수 있는 사람으로, 개성공단 입주기업 중에는 꼭 필요한 인원만 거주체류증을 발급 받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개성공단에 15여 억원을 투입해 생산공장을 착공 중이던 B섬유업체의 한 관계자는 “건설인력의 80%가량은 거주체류증을 소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장 이틀 뒤까지는 철수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완공이 눈앞인데 공사를 중단해야 할 형편이라 피해가 이만 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입주기업들이 그동안 우려했던 납기지연이나 주문축소 등의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의류업체인 C사의 한 관계자는 “상주인력 28명을 16명으로 감축하면서 납기지연을 우려하는 거래처들의 문의가 눈에 띄게 늘었다”며 “일부 거래처는 주문을 잠시 미루거나 다시 고려해보겠다는 입장이어서 당장 주문량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의 생산활동에는 크게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개성공단기업협의회 부회장인 배해동 태성산업 대표는 “거주체류증 소지자들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남측의 가족을 만나러 내려오고 있다”며 “상주인력들이 거주체류증 대신 일주일 단위의 체류증을 발급 받아도 전체 인력 규모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게 이번 조치로 크게 동요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남북한 정부가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해 구체적인 축소인원이나 운영방향 등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채 책임을 떠넘기는 모습을 보여 정작 회사 경영에 대혼란을 빚고 있다며 성토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 2일 브리핑을 통해 “개별기업들이 축소인원을 자율적으로 결정해서 개성공단 관리위를 통해 북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