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통합에 나선 대구시,경상북도가 첫 사업으로 손을 댄 ‘모바일 특구 지정’을 따낼 수 있을까.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경제통합 첫 사업으로 그동안 경쟁적으로 추진해온 ‘모바일특구’ 유치활동에 공동전선을 형성, 결실을 맺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이번 논의는 경제통합 양해각서(MOU) 체결 이후 양 시도가 대형 국책프로젝트 유치를 위해 공조하는 첫 사례로 떠올라 향후 경제통합 논의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부는 2010년 ‘모바일 일등 국가’ 건설을 위해 모든 모바일과 관련한 서비스를 기술ㆍ표준의 장애없이 사용ㆍ시험해 볼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모바일 특구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4월 정통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M-1프로젝트 추진위원회’를 발족, 6월중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고 하반기 조성지역을 선정, 내년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인프라가 풍부한 대구와 경북 구미는 물론 대전, 수원, 인천, 제주도 등 전국 주요 도시들이 치열한 모바일특구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대구는 모바일 SW 집적지(대구 칠곡), 모바일기업 혁신 및 시험인증 지원(성서단지), 모바일테크노빌딩(내년 3월 준공) 등 풍부한 모바일 R&D기반을, 구미는 삼성전자ㆍLG전자 등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밀집한 최대 모바일 생산단지를 각각 갖추고 있다. 대구와 경북도는 지난달 20일 경제통합 MOU 체결을 통해 각자의 강점과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국비확보 등 대외 활동에 적극 협력하기로 이미 합의했다. 당시 조해녕 시장과 이의근 도지사도 “모바일특구를 대구ㆍ경북이 공동 추진해 다른 지역보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공조 입장을 내비쳤다. 지난달 29일에는 경제통합적 관점에서 모바일특구 유치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전문가 토론회가 대구경북연구원, 대구ㆍ경북 테크노파크,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등의 주도로 열려 공동유치기획단 구성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민용기 대구전략산업기획단 혁신지원실장은 “대구의 모바일 R&D기반과 구미의 생산기반을 묶는 모바일 클러스터를 형성해야 한다”며 “특구 유치를 위해 우선 대구ㆍ경북 초광역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윤 경북도 과학정보산업국장은 “모바일특구 유치를 위한 구체적인 공조 전략은 정부의 세부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결과 후 검토되겠으나 대구ㆍ경북의 포괄적 협력 원칙은 세워진 상태”라고 말했다. 경북테크노파크 이재훈 사업단장도 “대구와 구미가 경쟁적인 행보를 지양하고 유치전략을 공동 수립해야 한다”며 “모바일 특구 유치는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