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은 22일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3.8%에서 3.5%로 내리면서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이같이 하향 조정했다.
중국 성장률 둔화와 한중간 경쟁력 격차 축소, 중국의 중간재 자국산 대체 등 대(對) 중국 수출 불안 요인이 커진 것이 반영됐다.
이는 한국은행과 LG경제연구원의 경제성장률 전망치(3.4%)와 같은 수준이며 한국개발연구원(KDI, 3.5%), 현대경제연구원(3.6%), 금융연구원(3.7%)의 예상치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는 1.4%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담뱃값 인상, 원·달러 환율 상승, 공공요금 인상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물가하방 압력과 총수요 부진은 물가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둔화에도 수입 증가율이 단가하락의 영향을 받아 마이너스로 떨어지면서 1천100억 달러의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가계소득이 부진한 주요 원인으로는 자영업자의 사업소득 부진을 꼽았다. 또 조세·사회보장지출, 부채감축을 위한 지출 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임금인상만으로 소비지출을 늘리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