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일 ‘2015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5%에서 0.5%포인트 내린 3.0%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은 3.1%로 2년 연속 3% 내외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투자를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하게 회복될 것”이라면서도 “수출 부진이 지속되겠다”고 예상했다.
저금리, 유가하락, 주택시장 개선 등 요인으로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내수의 개선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민간소비는 저금리와 유가하락으로 실질구매력이 개선되면서 부진이 일부 완화되고,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건설투자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부문이 흔들리면서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KDI는 “중국 등 신흥국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엔화 및 유로화 약세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수출 증가율은 올해와 내년 각각 1.1%와 2.9%의 낮은 증가세를 나타낼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도 올해 0.5% 성장에 그치고, 내년에는 1.4% 정도로 예상됐다.
KDI는 정부의 구조개혁 정책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하거나, 통화·재정정책이 제대로 실현되지 않는다면 성장률이 2%대로 하락할 가능성도 높다고 경고했다.
KDI는 “연금·노동시장 관련 개혁이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또 가계부채 문제가 통제되지 못하면 금리인하 정책도 제약을 받을 것”이라며 “세입여건이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 올해에도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외적으로도 “중국 성장세 둔화, 유로존의 경기회복 지체,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등 요인이 우리 경제의 성장세를 추가적으로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초만 해도 주요 경제연구기관들은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이 작년(3.3%)보다는 나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수출 부진이 복병으로 떠오르면서 각 기관이 줄줄이 성장률 전망치를 3% 초반대로 끌어내린 데 이어 2%대 전망도 속속 나오고 있다.
KDI에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9일 기준금리 동결 이후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4%에서 3.1%로 0.3%포인트 낮췄다.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지난달 3.3%로 전망했다가 한 달 만에 3.1%로 끌어내렸다.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는 올해 성장률이 간신히 3.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보다 성장률이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KDI와 비슷한 시각이다.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한국 경제를 보는 시각은 더 비관적이다.
일본투자은행 노무라증권은 올해 한국 경제가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하이투자증권은 2.9% 성장률을 제시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