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트레이드'라 불리는 일본 정부의 통화 완화 정책이 우리 금융시장에까지 파장을 미치고 있다. 일본 중앙은행이 잇달아 양적완화 정책에 나서면서 일본 내 유동자금이 넘쳐나고 엔저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내 경기침체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들 중 일부는 한국 시장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 시장에서 풍부한 자금력을 앞세워 사무라이 자금들이 한국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달라진 사무라이, 적극적인 러브콜=과거 일본계 자금들의 투자 성향은 극히 보수적이었다. 국내 금융시장에 투자를 해도 일부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만큼 안정성을 최우선에 두고 제한적인 행보를 보였다.
그런데 최근에는 사정이 달라졌다. 국내 금융회사의 경영권을 확보하거나 국내기업과 합작사를 설립하는 등 투자 패턴이 한층 과감해졌다.
여기에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달라진 위상이 반영돼 있다. 현대캐피탈과 합작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SBI모기지가 대표적이다. SBI모기지는 국내 시장에서 장기고정금리 모기지론 상품 취급을 위해 지난해 4월 코스피에 상장까지 마친 기업이다.
SBI모기지 측은 "현대캐피탈이 한국 시장 내에서 보유한 브랜드 파워 및 전국적인 영업채널 등으로 적절한 사업파트너라는 생각을 지니고 있다"고 말하며 현대캐피탈과 합작사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일본의 금융그룹인 SBI그룹도 최근 현대스위스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며 최대 주주가 됐다.
SBI그룹은 자회사인 SBI파이낸스코리아를 통해 현대스위스저축은행 지분 20.9%를 보유하며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은 단순한 재무적 투자자 역할만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유상증자로 SBI그룹은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의 최대 80% 이상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현대스위스를 비롯해 산하의 현대스위스2ㆍ현대스위스3ㆍ현대스위스4저축은행에 대해 경영권 역시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SBI그룹 측은 이번 유상증자에 필요한 자금을 100% 일본에서 조달할 계획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고 엔저 현상 등으로 일본 내 자금들이 한국 금융시장 진출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일본 대부업체인 제이트러스트가 미래저축은행을 인수하고 현재 친애저축은행으로 이름을 바꿔 영업을 하고 있다.
또 다른 일본 금융그룹인 오릭스도 지난 2010년 푸른저축은행의 계열사인 푸른2저축은행을 인수하며 국내 저축은행업에 진출했다.
◇대부업계에서도 큰손=일본계 자금이 국내시장에 들어온 것은 비단 저축은행만이 아니다. 이미 오래 전부터 대부업계를 중심으로 입지를 넓혀왔다.
지난해 10월 현재 국내 대부업 시장에서 일본계 대부업체의 수는 18곳으로 전체의 20%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대출잔액 상위 20개 대부업체(등록대부업체 대부잔액의 71.5%)를 조사한 결과 일본계 업체가 전체 대출채권의 47.6%를 차지했다.
즉 일본계 사금융 회사들이 국내 대부업 시장의 대부분을 잠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본계 자금이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 등 서민금융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금융계의 한 전문가는 "대출 심사와 추심 노하우가 발달한 일본계 회사들이 저축은행에 계속 진출한다면 대부업 시장처럼 장악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일본계 금융사들이 거둔 막대한 수익을 일본으로 가져갈 경우 국부유출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