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계와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이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을 찾아 자율협약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플랜텍은 지난 4일 외환은행 대출금 가운데 445억원을 연체했다. 포스코와 포스코플랜텍은 대출금 만기 연장을 시도했다. 그러나 외환은행의 자금회수 의지가 강해 연체가 해소되지 않았고 국내 신용평가사들의 신용등급 강등까지 이어지자 다른 채권은행까지 자금 회수에 나설 조짐이 관측됐다. 결국 궁지에 몰린 포스코가 주채권은행을 찾아 자율협약을 타진한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의 요청을 받은 산업은행은 난색을 표했으며 포스코플랜텍의 대주주인 포스코가 더 역할(자금지원)을 하거나 다른 채권은행들의 동의를 받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해야 자율협약이 진행된다"며 "현재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포스코가 포스코플랜텍에 지난 2013년 717억원을 증자한 데 이어 지난해 말 2,900억원 규모의 추가 증자에 나선 만큼 추가 자금지원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업계 안팎의 시각이다. 포스코플랜텍의 부실이 심각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이 되자 추가 자금지원보다는 자율협약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포스코가 계열사 추가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사례는 포스하이알에 이어 두 번째다. 포스하이알은 지난달 30일 광주지방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일각에서는 포스코가 부실 계열사 지원보다 시장에 맡기는 선택을 한 데 대해 꼬리 자르기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포스코 계열사에 자금을 지원할 때는 모회사인 포스코의 자금력까지 고려한다”며 “대주주로서 더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