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간에 끊어졌던 송전선로가 59년 만에 연결돼 대북송전이 본격화된다. 경의선과 동해선 철마가 지난 5월 남북을 가로질러 달린 데 이어 남북관계에 또 하나의 이정표가 서게 됐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전력은 21일 개성공단에서 김영주 산자부 장관, 이윤성 국회 산업자원위원장, 이원걸 한전 사장 등 남과 북의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평화변전소 및 남북간 송변전설비 준공식을 개최했다. 남북간 대량 송전선로가 연결된 것은 1948년 북측이 5ㆍ14 단전 조치를 취하며 평양~수색 송전선을 끊은 지 59년 만이다. 한전은 2004년 6월 개성공단 시범단지 분양으로 2005년 3월부터 전신주를 통한 배전방식으로 소규모로 전력을 북측에 공급했을 뿐이다. 이번에 준공된 송변전설비는 경기도 파주 문산변전소에서 개성공단까지 총 16㎞ 구간에 걸친 15만4,000V급 송전선로와 철탑 48기,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 등으로 350억원이 건설비로 투입됐다. 한전은 북측 송변전설비 완공으로 약 300여개 기업이 입주할 개성공단 1단계 지역에 10만k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됐으며 향후 변압기 증설을 통해 최대 20만kW까지 대북송전 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20만kW의 전력은 제주도 최대 전력수요의 40%에 달하는 것이자 2005년 7월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북핵 폐기를 전제로 제안한 200만kW 대북송전의 10분의1에 해당한다.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2월 국회에서 “200만kW 대북송전의 효력상실 여부를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혀 대북송전 계획이 부활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대북송전이 개성공단뿐 아니라 북측 전역으로 확대될 경우 이번에 건설된 문산~개성 송전선로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한전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 사장은 이날 “남북간 송전선로 연결은 개성공단 본단지 개발과 북측의 지속적 전력수요 증가에 맞춰 대용량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경의선 및 동해선 시범운행에 이어 남과 북의 혈맥을 잇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