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회가 있을 때마다 오르기만 하던 해상운임이 적절한 선에서 안정될 수 있을까’ 국내 선사들과 하주업체들이 양측의 이해를 조정해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약속해 향후 해상운임 추이가 주목된다.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선주협회는 22일 오후 서울 삼성동 한국무역협회 회의실에서 김영주 산업자원부 장관과 강무현 해양수산부 장관 등 정부 부처와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무역업계와 해운업계간의 협력을 위한 협약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의 주요 내용은 ▦국내 주요 선ㆍ하주 업체들이 참여하는 ‘선하주협의회’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선ㆍ하주 관계를 증진하는 실질적인 사업을 공동으로 발굴하자는 것. 선하주협의회는 무역협회, 선주협회, 무역업계, 해운업계 등 총 24개 업체들로 구성되며 1년에 두 차례씩 정기적으로 ▦해상운임 안정 ▦수출입 화물의 안정적 수송 ▦선ㆍ하주 협력 모범사례 공동 연구 등 ▦ 해운물류 정책 관련 대정부 건의 등 해상운송과 관련된 현안을 논의한다. 양 업계는 이와 별개로 운임과 관련된 정보교환 및 협의 채널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량화물에 대해서도 선ㆍ하주간 장기거래 관계를 구축해 안정적인 수송은 물론 국내선사의 우선 이용을 모색하게 된다. 양측은 이를 통해 줄곧 갈등과 마찰만 빚었던 관계를 ‘상생 협력’의 관계로 개선시키는 기반을 조성해가기로 했다. 이희범 한국무역협회장은 이날 “이번 공동협약의 정신에 따라 수출입 화물의 안정적 수송과 운임 안정을 위해 국적 선사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진방 한국선주협회장도 “양 업계가 신뢰관계 조성을 통해 사상 처음으로 선ㆍ하주간 협력 필요성에 합의하고, 대내외에 선포하는 뜻 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해운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MOU 체결이) 당장 해운운임 인하 등 가시적인 결과로 이어지기 힘들다”면서도 “양 업계가 공동 현안을 대화로 풀기로 한 만큼 해운 운임을 안정시키는 데는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무역업계와 해운업계는 수출 물동량의 99.7%가 해상운송을 통해 이뤄질 정도로 긴밀한 관계지만 운임 문제와 선박 확보 문제로 2004년부터 일부 대기업들이 장기 운송계약을 외국 해운사와 체결하는 등 일부 갈등 양상을 보여왔다. 연초에는 국제 해운동맹체들에 의해 추진된 운임 인상안으로 선주ㆍ하주간 갈등을 증폭시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