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11일 '호르무즈해협의 위기와 경제적 파급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란에서 예측 가능한 전쟁 양상과 그 영향에 관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첫번째는 이란이 일시적으로 해협을 봉쇄해 이 지역에서 국지전이 일어나지만 미군의 일방적 공세로 봉쇄가 6개월 만에 끝나는 경우다.
연구원은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국제유가는 평균 160달러까지 오르고 세계 경제성장률은 3.4%, 국제물가는 4.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성장률은 3.3%로 하락하고 물가상승률은 5.5%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1년 이상 장기전으로 간다면 상황은 더욱 암울하다. 중동 국가들이 원유 수출에 타격을 입고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쟁까지 불거질 수 있다. 사실상 1ㆍ2차 오일쇼크에 버금가는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구원은 호르무즈해협 장기 봉쇄로 세계 원유 거래량의 20%가 수송에 차질을 빚을 경우 국제유가는 210달러까지 폭등하고 세계 경제성장률은 2.9%로 하락하고 국제물가는 5.1%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 성장률도 2.8%로 떨어지고 물가는 7.1%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성근 선임연구원은 "과거 오일쇼크는 세계 경제가 호황일 때 발생했으나 호르무즈 위기는 세계 경기 둔화 과정에서 발생해 장기전에 돌입하면 충격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 1973∼1974년 1차 오일쇼크 때 세계 성장률은 6.8%에서 2.8%로, 국내 성장률은 14.8%에서 9.4%로 낮아졌다. 국내 물가 상승률은 3.2%에서 무려 24.3%로 폭등했다. 연구원은 호르무즈해협 위기에 대한 사전 대응책으로 전기ㆍ가스ㆍ대중교통 요금 등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선물 시장 등을 활용해 석유자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