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번 무디스 부사장은 2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미국의 양적완화가 시작되고 유럽 등 다른 국가에서는 저금리 상태에서 국채발행이 많았다"며 "반면 한국은 저금리 상태에서도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차입을 특별히 늘리지 않았기 때문에 양적완화가 축소되고 금리가 상승된다고 해도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번 부사장은 이어 "미국의 양적완화가 축소되면 한국 등 아시아로 들어왔던 투기성 자본의 유입 속도가 줄어들 것"이라며 "한국은 현재의 국가부채를 상환하는 데 국내외 금융시장에 의지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오히려 미국의 출구전략을 경제회복의 신호로 보고 한국 수출기업들에 긍정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번 부사장은 "미국의 채권매입 축소는 성장에 대한 믿음이 있다는 뜻"이라며 "진짜 문제는 대외 수요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주요 수출국인 미국의 경제가 성장을 멈추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레임 노드 무디스 전무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경기가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얘기"라며 "미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은 수요 증가로 수출이 늘어날 수 있는 희소식"이라고 말했다.
앞서 글로벌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도 미국의 출구전략이 한국 증시에 긍정적일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금리가 오르는 환경에서 한국처럼 세계 경기 회복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시장은 수혜를 입을 수 있다"며 "금리상승보다 성장률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무디스는 이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3(안정적)'로 유지했다. 무디스는 지난해 8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무디스는 이와 함께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 2~3%, 내년에는 3~4%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