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출 '민관총력전'] 中등 신흥시장서 활로찾는다
입력2001-04-03 00:00:00
수정
2001.04.03 00:00:00
美·日 의존줄여 마케팅다변화로 수출확대 모색정부가 3일 발표한 '수출마케팅 강화대책'은 미ㆍ일 경기위기가 현실로 다가옴에 따라 대미ㆍ대일 수출의존도를 줄이고 중국과 중남미ㆍ중동 등 신흥시장에서 활로를 모색하겠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통령과 총리까지 나선 전방위 세일즈 외교는 수출 마케팅에 범 정부적인 총력 지원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주요 실물부서 장관들이 지역별 무역투자사절단을 직접 이끌고 나가고 대규모 민관합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함으로써 신흥시장을 통해 돌파구를 찾는다는 전략이다.
여기에는 미국과 일본의 경기 회복에만 목을 매다가 수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설수도 있다는 절박한 위기의식이 깔려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수출다변화를 꾀하고 수출경쟁력을 회복하긴 어렵다는 점에서 이번 마케팅 대책은 수출분위기를 다잡을 수는 있겠지만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는 수출전선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미국ㆍ일본 의존도 줄이고 신흥시장 공략
정부는 대미ㆍ대일 의존도가 높은 수출구조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최대시장인 대미 수출이 이미 2월 0.6% 줄어들어 32개월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3월 또 다시 2%의 감소세를 이어갔고 일본 역시 3% 감소했다.
미국경기영향을 받는 동남아(-10%)와 대만(-16%)시장도 타격을 받고 있다. 세계경기가 침체국면에 빠져들면서 설상가상으로 보호무역주의도 기승을 부려, 선박ㆍ철강ㆍ석유화학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주력수출품목에 대한 수입규제 움직임이 뚜렷해지는 등 수출환경은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
성장 전망이 밝은 중국ㆍ중남미ㆍ중동 등 신흥시장쪽으로 눈을 돌리지 않는 이상 수출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범 정부차원의 수출 총력체제 구축
김대중 대통령은 중남미개발계획에 우리나라가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중남미 주요 국가를 순방하기로 했다.
중남미는 경기회복세로 소비재 및 개발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게 정부의 판단. 자동차와 가전 등 내구소비재와 기계류ㆍIT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플랜트 수출전망도 밝아 현지투자와 연계한 부품ㆍ소재류와 IT제품 등 성장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중동에는 총리 또는 부총리가 5월중 경제협력사절단을 이끌고 나가며, 정통부장관은 이달중 민ㆍ관합동 IT사절단을 파견할 예정이다.
산자부는 업계와 공동으로 중국지역 전시회 참가(43회)와 시장개척단 파견(13회) 등의 전략외에도 민관합동 무역투자사절단을 이달중 파견하고 정통부장관 등 IT민관사절단도 6월 방중할 계획이다. 이달중 아리랑TV를 통한 상품홍보전도 기획돼 있다
◇오일 달러를 잡아라
중동은 국내 플랜트 수출의 28.7%를 차지하는 시장이다. '오일머니' 유입에 따른 경기회복으로 플랜트 발주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수출전망이 어느때보다 밝은 편이다.
산유국들은 오일머니(지난해 2,500억달러 추정)를 토대로 지난해 270억달러 규모의 플랜트를 발주한 데 이어 올해 500억달러의 발주에 나설 것으로 기대된다. 휴대폰 등 IT제품과 자동차 관련품목도 수출이 유망하다.
이한동 총리나 진념 재정경제부장관이 5월중 중동 경제협력사절단 순방을 계획하고 있고 지난달 업계와 공동으로 '플랜트수출협의회'를 구성한 산자부는 ▦2분기 민관합동 플랜트 수주단 파견 ▦자금조달 능력을 높이기 위한 수출보험 및 금융지원 확대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실효성은 의문
전문가들은 정부차원의 사절단과 시장개척단 파견과 같은 소극적 대책으로는 수출다변화를 단기간에 꾀하기란 역부족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확실한 구조조정으로 외풍에 견딜수 있는 기업체질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수출마케팅 강화는 수출시장이 비상이 걸릴 때 마다 나온 단골 메뉴지만 어느 한번도 속시원하게 풀어내지 못한 경험이 있다. 이번 대책도 연초에 마련한 무역투자진흥대책을 토대로 '업그레이드'한데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또 범 정부차원의 수출마케팅 전략은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자칫 무역마찰의 우려가 높다. 정부가 주요 타켓으로 삼은 중국은 이미 연속적인 무역흑자로 양국간 무역마찰 가능성이 상존하는 지역이다.
권구찬기자
박동석기자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