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인프라 시장에서는 국내 산업계와 정책금융의 수주 능력이 민간 금융회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쟁력으로 직결된다. 국내 민간금융사들은 일찌감치 해외 PF 시장에 진출한 외국계 대형은행들에 비해 신용도·조달금리·외화조달·네트워크 등 모든 부문에서 크게 뒤처지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해외 PF 사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정의종 한양대 겸임교수는 "공기업이 지분 투자·운영을 맡고 국내 건설사가 시공을 담당하는 한편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 공적수출신용기관(ECA)이 직접 대출·보증 등을 통해 국내 민간금융사를 품고 가는 방식으로 아시아 인프라 시장에 접근해야 한다"며 "민관 종합 패키지 형식으로 도전해야 수주 경쟁력도 높일 수 있고 국내 민간금융이 참여할 수 있는 폭도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동기-세노로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은 민관 합동의 '코파이낸싱(Co-Financing)'이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전체 사업비만도 29억달러에 달하는 이 프로젝트는 한국가스공사가 일본 미쓰비시상사, 인도네시아 에너지 공기업인 페르타미나와 함께 인도네시아 북부 술라웨시섬 동부 해안에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를 건설해 LNG를 생산·판매하는 투자개발형 사업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이 사업에 2억1,000만달러를 투자해 지분 14.975%를 확보했고 수출입은행·농협은행·외환은행 등이 총 3억3,300만달러를 직접 대출한다. 농협과 외환은행의 대출분에 대해서는 수은이 채무보증을 제공한다.
이 같은 사례에서 보듯이 국내 민간금융사의 자체적인 PF 역량이 축적될 때까지 무보·수은 등 ECA의 '인큐베이터' 역할이 중요하다. 보증·보험 등의 형태로 통상 10~15년에 달하는 개발도상국 PF 대출에 대한 민간금융사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뿐더러 국내 ECA의 풍부한 해외 PF 시장 경험이 국내 민간금융사의 부족한 해외 네트워크를 보완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은과 무보도 국내 금융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수은은 10~15년에 이르는 해외 PF 대출기간을 부담스러워 하는 민간 금융기관을 위해 이들이 5~7년 조기에 대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는 '우선상환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무보는 지난 17일 국민·기업·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등 6개 시중은행과 총 21억달러 규모의 '해외 사회간접자본(SOC)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무보가 최대 100%의 보험을 제공하는 단일 펀드를 통해 우량 PF에 공동 대출하면 금리 수준도 낮출 수 있고 민간은행의 참여도 독려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보다 근본적으로 수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선택과 집중' 전략도 필요하다. 일본·중국이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무차별적으로 자금을 살포하고 있는 100억달러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보다 30억~50억달러 이하의 중소형 사업에 집중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최근 필리핀 철도 사업에 2,400억엔(약 2조3,300억원)의 ODA 자금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대규모 사업에 정부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아시아 인프라 시장의 경우 발주처가 대부분 아시아 저개발 국가들이기 때문에 100억달러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에서는 금리가 0.01%에 불과한 ODA 자금이 얼마나 포함되는지가 수주 경쟁력으로 이어진다"며 "대외경제협력기금(EDCF)·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우리나라의 전체 ODA 예산이 1조원 수준에 불과한 만큼 규모가 비교적 작은 중소형 프로젝트에 선택적으로 접근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는 게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