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관심 가는 지역은 개성·해주, 희망사업 분야는 지하자원과 사회간접자본(SOC) 개발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국내 기업 500개사에 통일 이후 대북사업 추진 의향을 물어본 결과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이 30.8%, ‘여건이 허용하는 한 추진할 것’이라는 답이 56.4%로 나왔다고 10일 밝혔다.
기업 87.2%가 통일이 되면 대북사업에 나서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통일이 되더라도 대북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답은 12.8%에 불과했다.
투자 관심지역은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42.3%)이 가장 많았고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지역(28.0%),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5%), 원산·금강산 등 강원도 인근지역(9.2%), 나진·선봉 등 러시아 접경지역(5.3%) 순이다.
희망사업분야로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28.4%), SOC 건설(22.1%), 생산기지 조성(22.1%), 대륙연계 물류망 구축(18.7%), 북한 내수시장 개척(8.7%)을 들었다.
대북사업 추진 형태로는 직접 시설투자(37.1%), 위탁가공 의뢰(28.4%), 단순교역(25.2%), 합작투자(6.9%) 등을 꼽았다.
통일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진전 상황에 대해서는 부정적 기류가 우세했다.
65.1%가 통일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필요한 이유로는 경제발전(6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남북관계 동향을 묻자 10.6%만이 ‘통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답했고 대다수인 70.7%는 ‘제자리 걸음을 한다’고 봤다.
통일 예상 시기로는 20~30년내(35.4%)와 10~20년내(31.2%)가 많았다.
남북분단이 기업활동에 주는 부정적 영향으로는 북방으로 진출할 기회 차단(37.2%), 도발 행위로 인한 시장 불안정(28.7%) 등을 들었다.
북한 방문을 희망하는가 라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28.2%가 ‘기회가 되면 가겠다’고 답했고 33.8%는 ‘제안이 오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북한 기업의 역량 개발에 협력하겠다는 기업들은 가능한 방안으로 기술전수(31.3%)를 첫손에 꼽았고 북한 경제인의 우리 기업 답사 허용(25.8%), 전문인력 파견(20.5%) 등도 제시했다.
2010년 천안함 피격으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간 경제교류를 전면 금지한 5·24 조치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대다수(87.6%)가 해제 논의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대한상의는 “북한의 조선상업회의소가 세계상공회의소연맹(WCF)에 참여하기도 하는 만큼 우리 경제계가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볼 계획”이라며 “원산지증명 발급교육, 북한 기업인의 국내기업 시찰, 품질경영 컨설팅 등 상의가 갖고 있는 차별적 기능도 실질적 협력사업을 전개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남북경협이 이뤄져야 북한의 경제수준을 높여 통일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면서 “경제 협력 중단이 길어질수록 재개할 수 있는 부담과 애로는 커지는 만큼 당국간 대화와 협상은 물론 민간차원의 교류 등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