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배재성 교수와 진희경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스핑고지질(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 중 하나로 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효소 ASM(Acid sphingomyelinase)이 알츠하이머병의 진행과 관계된 인자임을 새롭게 규명해 알츠하이머병을 위한 효소 기반 치료법 개발의 초석을 마련했다.
ASM은 스핑고지질 대사 효소 중 하나로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을 세라마이드(ceramide)로 전환한다. ASM은 뇌조직에 풍부하게 존재한다고 알려졌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병으로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이나 치료법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태다. 연구팀은 정상인에 비해 알츠하이머 환자의 혈액에서 ASM 효소가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증가한 ASM을 억제하니 세포 내 이물제거과정(자가포식작용)이 향상돼 독성 아밀로이드 축적이 줄고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활성화된 ASM 효소가 그 비정상 현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배재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병인을 찾고 유도 만능줄기세포 유래 환자 신경세포에서 기전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임상 적용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법 개발을 위한 새로운 타깃을 제시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한편 연구결과는 의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저널 오브 익스페리먼털 메디신 2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