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를 자부하던 국내 조선업계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한 수 아래로 평가했던 중국이 무섭게 추격하면서 국내 업체는 수주 가뭄에 시달리는 양상이다.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 믿었던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도 대규모 적자가 발생하고 있어 국내 조선업계의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30일 산업연구원의 '중국 조선해양산업 급속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2년과 2013년 2년 연속 선박 수주량·건조량·수주잔량 모두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기준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수주량 35.0%, 건조량 30.7%, 수주잔량 33.5%였다. 한국은 수주량 30.8%, 건조량 29.7%, 수주잔량 27.9%로 모두 중국에 밀려 2위를 차지했다.
중국 정부가 앞장서서 노후 선박을 교체하도록 하고 상당 물량이 자국 내에서 발주된데다 적극적으로 금융까지 지원한 결과다. 중국 조선업의 내수 규모는 2000년 214억위안에서 2012년 5,342억위안으로 10여년 만에 약 25배나 커졌다.
더욱이 최근 들어 한국 조선업의 미래라고 불렸던 해양플랜트마저 대규모 부실의 주범이 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4분기 3,625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세계 1위의 조선업체인 현대중공업도 같은 기간 1,889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데 이어 2·4분기에는 사상 최대규모인 1조1,03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홍성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조선해양산업이 구조조정을 완료하면 질적으로 강해져 우리나라를 더 크게 위협할 것"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선과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장에서 더욱 차별화되고 고부가가치 기술이 접목된 고품질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