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월 기준금리를 전달과 같은 연 2.75%로 묶었다. 두 달 연속 올리는 게 부담스러운데다 일단 정부 부처들이 각개약진하고 있는 미시적인 물가억제대책을 믿어 보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변이 없는 한 다음달에는 인상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11일 금통위 직후 "국내 경기가 수출과 내수의 동반호조로 상승세를 이어가겠지만 구제역과 이집트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등이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라며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김 총재는 그러나 "헛발을 디딜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지는 않지만 속도가 느리다고 판단하지 않을 정도로는 금리를 정상화(인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상황이 급격하게 위축되는 일만 없으면 다음달이라도 추가인상을 하겠다는 뜻이다. 김 총재는 실제로 "경기상승에 따른 수요압력 증대와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4% 내외의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면서 물가에 대한 우려 수위를 더욱 높였다. 금통위원들도 이날 회의에서 일부는 물가불안이 지속되는 만큼 연쇄인상을 주장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거시 수단(금리)을 두 달 연속 사용하기에는 가계 부문의 부담이 큰 것이 사실"이라며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다소 주춤해진 만큼 범정부 차원에서 진행 중인 미시적 물가억제대책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총재도 "단기적으로 볼 때 금리를 올려야 하는 경우에 걱정되는 것이 가계부채와 중소기업"이라며 "다만 가계부채가 단기간에 부실화할 개연성은 높지 않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