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ㆍ알츠하이머병 등 질병 치료능력까지 보유한 국내 뇌 연구 거점기지로 발돋움한다.” 29일 정부와 과학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발족한 ‘국가뇌연구소설립추진위원회’는 현재 실질적인 치료능력까지 겸비한 종합연구소를 설립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모아가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각 대학과 기업 연구소 등에 분산해 있는 전문인력과 정보를 집중, 현장 질병치료에서 인공뇌 개발 등 뇌 융합연구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국가 최초 뇌연구소, 치료기능 갖출 듯=3월 설립추진위 발족 이후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의 핵심은 병원시설 연계 여부와 연구소 운영방식 등 크게 두 가지다. 먼저 2000년 경기도 일산에 들어선 ‘국립암센터’처럼 국가 뇌연구소도 연구수행과 환자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모델이 될 전망이다. 복잡한 뇌 연구를 동물실험에만 의존해서는 효과적으로 성과를 거두기 힘든 만큼 연구소 내에 ‘실험병원’을 만들어 병 치료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뇌 연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자는 것. 이 경우 치매ㆍ뇌졸중ㆍ파킨슨병ㆍ루게릭병ㆍ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환자들이 우선적으로 뇌연구소 병원에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산ㆍ학ㆍ관 교류가 어려운 폐쇄적 방식의 국가 연구소 모델에서 탈피해 뇌연구소를 완전 개방형 모델로 끌고 나가자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연구인력의 50%만 상시 고용인력으로 채우고 나머지 50%는 모든 대학과 기업의 연구자들에게 개방, 일정 기간의 연구계약을 맺고 뇌연구소의 풍부한 연구자원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자는 구상이다. 추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오우택 서울대 약대 교수는 “융합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할 때 국가 뇌연구소의 성공 여부는 개방형 운영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하느냐에 달렸다”고 전했다.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기초과학 등 인프라 육성 시급=국내 첫 뇌연구소 설립을 위해 과학계에서는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센터장을 비롯해 이수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과학연구센터장, 서유헌 서울대 신경과학연구소장, 조장희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장 등 뇌 인지ㆍ의학ㆍ영상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전문가들이 한데 모였다. 그간 개별기관 단위로만 진행해온 국내 뇌 연구가 뇌연구소 설립을 계기로 늦게나마 산ㆍ학ㆍ관 공동연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 이들은 뇌연구소에 대한 직접투자와 함께 기초과학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산업계 대표로서 추진위원으로 활동 중인 곽병주 뉴로테크 대표(아주대 의대 교수)는 “국내 뇌과학 연구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관련 기초과학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약물질 개발 등 뇌연구소의 연구성과를 시장에 내놓기 위한 관련 제약산업 등의 성숙도 역시 중요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