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빡빡한 수급여건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워 중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한국은행이 전망했다. 이에 따라 세계경제가 경기하강 및 물가상승 등 고유가의 부정적 영향이 가중돼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25일 ‘고유가시대 장기화-가능성과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의 유가상승은 신흥시장국의 수요증가와 불충분한 공급능력 등의 복합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고유가가 장기화될 조짐이 있고 이는 앞으로 경제성장 둔화 및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의 유가상승은 전쟁 발발로 인위적인 공급감축에 기인했던 지난 1970년대 오일쇼크 때와 달리 중국ㆍ인도 등 신흥국가의 수요가 주원인으로 꼽혔다. 또 과거 석유위기 때에 비해 여유생산 능력이 부족하고 신규 유전 개발이 쉽지 않은데다 원유생산 비용 급등으로 유전개발의 경제성이 낮아진 점이 지속적인 공급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동국가들의 원유생산 능력 확충을 위한 투자부족 장기화, 헤지펀드와 연기금 등의 투기성 원유거래 급증 등도 유가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흥시장국이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고 바이오연료와 원자력 등 대체에너지도 단기간 내에 확대되기 어려워 국제유가가 중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상당수 기관들은 올해 연평균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대(브렌트유 기준) 중반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골드만삭스 등 일부 기관들은 90~100달러 중반대까지 예측하고 있으며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는 추세라고 한은은 전했다. 보고서는 최근 들어 실질유가 수준이 과거 최고치에 근접하고 상승속도도 급격해짐에 따라 유가충격의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금융시장이 불안하고 주택경기마저 침체되고 있는데다 과거 유가충격이 있었던 1ㆍ2차 석유위기와 걸프전 모두 세계경기의 침체를 동반했다는 점에 비쳐볼 때 이번 고유가의 부정적 영향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여기에 원자재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주요국 통화당국의 정책도 완화기조로 전환되고 있어 세계경제가 저인플레이션 시대에서 벗어나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고유가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추진하는 한편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확보를 위한 자원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통화정책 면에서는 고유가 지속에 따른 성장의 둔화와 인플레이션 위험의 균형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은 해외조사실 안상준 과장은 “앞으로 고유가 지속으로 물가가 치솟는 등 세계경제의 불균형 심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이를 금리인하가 어렵다는 쪽으로 연결해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