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각광 받고 있는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융합) 산업의 유망 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놓고 금융권과 정보기술(IT) 업계 간에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금융권은 처음부터 금융사가 주도해 모든 은행 서비스를 온라인화한 '풀(Full) 뱅킹' 전문은행을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IT 업계는 기술이 중심이 돼 '틈새시장'을 확보하는 특화전략을 취해 인터넷 전문은행을 만들고 이를 계기로 핀테크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IT 업계를 전폭 지원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23일 금융권과 IT 업계 등에 따르면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부산은행 등 시중은행은 금융권이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주도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자체적으로 태스크포스(TF)나 전담팀을 꾸려 설립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 금융권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IT 업계가 기술력을 보좌해 인터넷 전문은행을 설립하면 국내 핀테크 산업 활성화에도 도움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정부가 금융권 중심으로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컨대 송금과 예금·대출 업무 등 분야별로 난립할 수 있는 핀테크 시장을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계기로 하나로 묶어서 단번에 핀테크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생각이다.
여기에 현재 불법으로 묶여 있는 외국환 업무나 개인 간 대출 중개(P2P 사업) 등도 금융업이 주도해야 규제 완화나 성장에 더욱 쉽게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규제 완화로 핀테크 스타트업의 사업 영역을 열어주는 것도 좋지만 IT 업계 자력으로는 핀테크 성장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은 지난달 범금융 대토론회에서 "금융권이 인터넷 전문은행을 설립해 성공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며 "독립법인이든, 사업본부든 인터넷 전문 은행은 금융회사가 주도해야 한다"며 금융권 중심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IT 업계와 IT 기술을 보유한 핀테크 스타트업은 은행권이 기존 밥그릇을 확대하기 위한 궤변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무엇보다 '풀뱅킹' 인터넷 전문은행은 기존 '인터넷 뱅킹'과 차별화될 수 없고 IT 업계가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인터넷 전문은행이 설립될 수 있다며 맞서고 있다. 금융권의 주장은 오프라인 업무가 온라인으로 바꾼 은행 신설에 불과해 소비자를 위하는 것도 아니고 핀테크 산업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특히 IT 업계는 금융권이 주장하는 종합적인 업무를 담당하기보다 특정분야로 국한한 인터넷 전문은행 신설이 핀테크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미국과 유럽의 사례처럼 송금이면 송금, 대출이면 대출, 외환이면 외환 등 한 가지 분야에 특화된 업무를 취급하는 인터넷 전문은행이 경쟁력이 높아져 제도 도입 취지를 살릴 수 있다는 주장이다. 박소영 페이게이트 대표(한국핀테크포럼 의장)는 "인터넷 전문은행은 시작부터 모든 분야를 한다기보다 특화된 업무에 초점을 맞춰 신설하는 것이 효과가 클 것"이라며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 과정에서 창조경제의 핵심인 융합이 발휘돼야 하는 것으로 IT 업계가 금융권의 보조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과 관련한 금융권과 IT 업계 간 첨예한 대립은 각자의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한 논쟁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가 여전히 규제 완화에 소극적이라 인터넷 전문은행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지도 않았는데 불필요한 소모전이라는 지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