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의 영업기반이 무너지는 것은 서민금융지원 시스템 붕괴와 맞물려 있다. 저축은행들은 "눈앞의 고비부터 넘기고 보자"며 대출을 줄이는 데 급급하지만 이는 고객 및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 특히 저축은행에서마저 밀려난 일부 서민과 중소기업은 갈 곳이 없게 된다. 잇단 대출비리 문제로 저축은행이 고객들의 신뢰를 잃으면서 생긴 유동성 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셈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들은 국책금융기관이 저축은행에 크레디트라인(신용공여한도)을 개설해 고객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필요가 있다고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공적자금을 저축은행에 투입해 부실을 한 번에 털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축은행 대출 개점휴업=현재 저축은행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유동성 확보다.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와 제일저축은행 사태에서 나타났듯 한 번 '뱅크런'이 발생하면 겉잡을 수 없이 번진다는 게 저축은행들이 깨우친 교훈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관계자는 "감독당국 역시 올 들어 수차례에 걸쳐 유동성 확보를 강조하고 있다"며 "저축은행 입장에서도 대출을 회수하고 보유 자산을 팔아 현금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나중에 수익성에 문제가 될 것은 잘 알고 있지만 당장 살아남는 게 중요하지 않겠느냐"며 "예금 고객은 물론 대출고객도 줄고 있어 걱정"이라고 했다. 현재 저축은행은 유치예금의 약 10~15% 정도를 유동자금으로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뱅크런이 발생하면 며칠 버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유동성 확보에 애를 쓰는 것이다. 한 저축은행장은 "1998년 외환위기 때도 지금처럼 어렵지는 않았다"며 "저축은행업 자체에 대한 존폐 여부마저 불확실한 상황인데 저축은행이 무너지게 되면 서민금융지원에도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축은행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외도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부분의 지방 저축은행은 지역 내 대출을 열심히 하고 있고 저축은행업의 본질은 서민대출이기 때문에 저축은행이 무너지는 일은 막아야 한다는 얘기다.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저축은행 청문회에 나와 "저축은행은 서민지원에 필수적인 금융기관"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당국 크레디트라인 설정 도와달라=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시장에 팽배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주요 은행과 저축은행이 크레디트라인을 맺을 수 있도록 당국이 도와달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저축은행이 은행과 크레디트라인을 설정했다는 소식 자체만으로도 고객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어서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저축은행별로 200억~300억원 수준의 크레디트라인만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뱅크런에 대비하기에는 금액이 너무 적은데다 금리도 높아 저축은행들로서는 크레디트라인 설정 자체를 망설이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정책금융공사나 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이 저축은행 업계의 안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크레디트라인을 설정해주는 방안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저축은행 부실을 털기 위해 공적자금을 바로 투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 전체 대출의 절반 정도가 부실이 됐다고 해도 35조원 정도면 부실처리가 가능할 것"이라며 "적은 돈은 아니지만 저축은행 부실이 금융 시스템 안정을 위협하기 전에 환부를 빨리 도려내야 한다"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먹을거리 대책이 포함된 저축은행에 대한 청사진이 하루 속히 나와야 한다는 것도 숙제다. PF 부실로 촉발된 이번 사태를 넘기더라도 저축은행만의 영업권역이 없으면 저축은행의 부실 사태는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