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한국은 월간 웨이퍼 용량 점유율에서 지난해 12월 기준 21.1%를 차지해 대만(19.4%)을 1.7%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한국은 일본(18.3%)도 여유 있게 따돌렸다.
2010년 12월 기준 같은 조사에서는 일본이 22.0%로 1위, 대만(21.5%)과 한국(15.2%)이 2, 3위였다.
이 조사는 200㎜짜리 웨이퍼로 환산한 용량을 국가별로 비교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반도체 공장에서는 300㎜짜리 웨이퍼를 쓴다.
웨이퍼(wafer)는 반도체의 재료가 되는 얇은 실리콘 판을 말한다. 웨이퍼 용량은 그 위에 반도체 메모리 소자 등을 집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이다. 따라서 웨이퍼 용량은 반도체 생산능력(fab capacity)과 동일시할 수 있는 개념이다.
한국, 대만, 일본 외에는 북미가 15.1%, 중국이 9.2%를 점하고 나머지는 그외 국가(10.5%)가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인사이츠는 앞으로 5년 후인 2019년 12월의 점유율 추이도 전망했다.
한국이 21.9%로 여전히 1위를 차지하겠지만 대만(20.7%)이 바짝 추격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16.2%)의 점유율은 다소 떨어지겠지만, 중국(10.9%)은 비중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D램과 모바일 D램 등 메모리 분야에서 절대 강세를 보이고 있고, 대만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TSMC 등을 거느리고 있다.
IC인사이츠는 아시아 4국의 웨이퍼 용량 점유율 합계가 70%에 육박한다면서 그중에서도 한국과 중국, 대만은 향후 5년간 점유율을 늘려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