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이면 전 세계 바이오헬스 산업 시장 규모가 한국의 3대 주력산업인 반도체, 화학, 자동차를 합친 것보다 더 커질 만큼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적극적으로 육성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 헬스 미래 신(新)산업 육성 전략'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지난 1월 박근혜 대통령에게 연두보고한 바이오 전략을 구체화한 방안이다.
정부는 우선 2017년까지 줄기세포와 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내세울만한 의약품 5개를 출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국이 줄기세포 치료제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의 상용화 수준(1위)과 임상 연구건수(2위)를 보유한 만큼 글로벌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이진규 미래부 원천연구정책관은 "여러 부처가 함께 실효성을 제고한 '최고의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일각에서 이번 정부안이 현실성이 떨어지는 목표를 설정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술특례상장 바이오기업을 2020년까지 무려 50개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의 경우 구체적 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않아 돌려막기식 방안이라는 것이다. 기술특례상장은 현 재무제표 사정이 좋지 않아도 기술이 좋은 기업이면 코스닥시장에 상장시키는 제도다. 지난 2005년 도입된 이래 10년동안 고작 14개 바이오 기업만 상장했다. 지난해에도 상장한 기업은 1개에 불과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