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신뢰회복을 위해 응답자들은 비정치적인 고리부터 우선 풀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남한은 5·24조치로 묶인 남북교류를 풀고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을 정례화하자는 것이다.
먼저 남한이 북한의 신뢰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최우선으로 취해야 할 과제를 묻는 질문에 61%가 5·24 대북조치 해제라고 답했다.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우리 정부는 그해 5월부터 △북한 선박의 우리 해역 운항 불허 △남북교역 중단 △우리 국민의 방북 불허 △북한에 대한 신규투자 불허 △대북지원 사업의 원칙적 보류를 내걸어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특히 남북교역과 북한 투자 불허로 대북사업을 벌이는 기업인의 애로가 컸다. 응답자 중 기업인은 83.3%가 5·24 조치 해제를 첫 순위로 꼽았다.
5·24조치가 북한에 대한 제재 성격이 있기 때문인지 정치적 성향별로 지지도에 차이가 났다. 자신을 중도나 진보라고 정의한 응답자는 71~72%가 5·24조치 해제에 찬성했지만 보수 성향의 응답자는 찬성비율이 절반인 36%로 떨어졌다. 5·24조치는 그동안 우리 정부가 마지막까지 풀지 않은 보루로 여겨졌지만 응답자는 과감하게 풀 것을 주문했다. 5·24조치를 해제하려면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44.6%로 가장 높았지만 전면 해제를 주장하는 답변도 38.6%로 비등했다. 기업인들은 58.3%가 전면 해제를 요구했고 중도성향(48.6%)과 진보성향(52.4%) 역시 절반 가까이가 전면 해제가 맞다고 봤다.
북한을 향해서는 이산가족 상봉을 정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38.6%로 가장 컸다. 비정기적인 상봉행사로는 고령으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하는 이산가족의 한을 풀기 역부족이라는 인식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응답이 24.7%로 뒤를 이었다. 시민단체에 소속된 응답자의 60%가 이를 지지했다. 정치성향이 보수(32%)와 중도(29.7%)까지는 비슷한 비율로 답했다. 그러나 진보 성향 응답자는 5.3%만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