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최성근 선임연구원과 홍준표 연구위원은 10일 낸 ‘이라크 공습의 한국경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라크 공습에 따른 중동 정세 불안이 한국 경제 회복을 더 지연시킬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유가 장승과 세계경제 불안이 세월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ㅅ헉이다.
연구원은 이번 사태가 국지적 위기로 확산될 경우 유가가 3개월 간 약 1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올해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치보다 0.03%포인트 하락하고 생활물가는 0.14%포인트 상승(하반기 전망치는 각각 0.05%포인트 하락, 0.28%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공습이 주변국으로 번질 경우 유가는 6개월간 30% 내외로 상승하고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0.08%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생활물가는 0.42%포인트 상승(하반기는 각각 0.15%포인트 하락, 0.8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종교적 신념을 중시하는 아랍 국가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라크 수니파 반군인 ‘이슬람 국가’(IS)에 대한 공습이 이후 시아파와 수니파 국가들의 개입과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최 선임연구원 등은 “하반기에도 세월호 충격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라크 공습에 따른 유가 충격이 더해질 우려가 큰 만큼 원유수급 대책과 경기활성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