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이 2% 성장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고 전년 성장률에서 거의 반토막이 난 셈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도 2만2,708달러로 3년째 제자리걸음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6일 내놓은 '2012년 국민계정(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실질 GDP는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분기별로는 1ㆍ4분기 0.8%, 2ㆍ4분기 0.3%, 3ㆍ4분기 0%로 낮아지다 4ㆍ4분기에는 승용차ㆍ텔레비전ㆍ의류 등의 소비가 늘면서 0.3%로 상승 반전했다. 2% 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0.3%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바로 직전 해인 2011년 성장률(3.7%)의 거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처럼 성장률이 낮은 수준에 머문 것은 생산과 소비 등 모든 부분이 저조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수출은 그런대로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건설투자가 부진했고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율도 하락했다.
제조업이 2.2%, 광공업이 2.2% 성장했지만 전년의 성장률(각각 7.3%, 7.2%)에 비해 크게 위축됐다. 건설업은 -1.6% 성장으로 -4.4%였던 전년보다 개선됐으나 여전히 부진을 이어갔다. 최종 소비지출은 전년(2.3%)보다 약간 낮아진 2.2%로 위축된 모습이었고 건설투자는 -2.2%로 전년(-4.7%)보다는 나아졌으나 물 위로 오르지 못했다. 설비투자는 2011년 3.6%에서 -1.9%로 떨어졌다. 재화ㆍ서비스 수출과 수입 증가율은 각각 4.2%, 2.5%를 기록했다.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2,708달러로 1년 전보다 257달러 증가했다. 하지만 2만달러를 회복한 2010년 이후 3년 연속 2만달러 초반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강한 성장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물가를 고려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전년보다 2.6% 증가해 같은 기간 실질 GDP 성장률(2.0%)을 앞섰다. 이 같은 역전현상은 수출제품 가격보다 수입 원자재값 하락폭이 높은 등 교역조건이 개선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해 새로 발표된 1인당 개인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3,150달러로 244달러 늘었다. 실제 개인의 주머니사정을 나타내는 1인당 GNI 대비 PGDI의 비율은 57.9%로 경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61.3%)에 못 미쳤다. 나라마다 산업ㆍ경제구조가 달라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우리 국민의 주머니사정이 그만큼 좋지 않다는 뜻이다.
총 저축률은 30.9%로 0.7%포인트 떨어졌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3.3% 늘어난 반면에 최종 소비지출은 이보다 높은 4.4% 증가했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30.2%) 이후 가장 낮다. 국내총투자율도 건설ㆍ설비투자 부진에 2.0%포인트 내려간 27.5%를 기록해 역시 2009년(26.2%) 이후 가장 부진했다. 국내총고정투자율은 26.6%로 2009년(29.0%)이래 4년 연속 하락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