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대·하나SK 카드가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의 40%를 감면해주겠다는 구제책을 발표한 데 이어 올 초 롯데ㆍ삼성ㆍ신한ㆍKB국민카드 등 4개 전업카드사와 외환은행도 최대 40% 감면에 동참하기로 했다. 지난해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대상이다.
하지만 실제 40% 감면을 받은 피해자들은 소수에 그치고 있다. 삼성ㆍ롯데ㆍ신한ㆍ외환 등 4곳의 카드사들이 지난해 11월 공인인증을 강화한 후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10%만 감면해주고 있어서다.
실제 롯데카드 경우 지난해 11월11일, 신한카드는 지난해 11월15일을 기준으로 각각 공인인증 절차를 강화한 뒤 보이스피싱 피해자에 대해 10% 감면안을 고수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감면 금액에 대한 보상 심사가 진행 중이지만 롯데나 신한카드와 마찬가지로 공인인증절차 강화 이후 피해에 대해서는 감면비율을 10%로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
해당 카드사들은 "본인이 직접 인증을 통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피해자 책임이 전적으로 크다"는 입장이다.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은 이러한 카드사 주장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한 보이스피싱 피해자는 "카드사들이 고객 동의 없이 카드론 한도를 상향해 피해를 키웠던 책임은 외면한 채 모든 부담을 피해자들에게 전가하며 피해자들을 두 번 울리고 있다"며 "당초 카드사들이 선언했던 것처럼 40% 감면이 안 된다면 차라리 소송을 통해 피해를 구제받을 생각"이라고 토로했다. 또 피해자들은 대부분 보이스피싱 피해가 지난해 10월 이후에 집중돼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 40% 피해금액 감면을 받는 피해자들은 많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