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은 물론 국가경제의 명운이 달린 사안인 만큼 주총 역시 규모와 무게감 면에서 역대 최고를 자랑한다.
삼성물산은 17일 오전9시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주총을 연다. 같은 시각 제일모직도 중구 태평로 삼성생명빌딩에서 주총을 개최한다.
다만 제일모직은 우호지분이 50%가량 될 뿐 아니라 개인주주의 찬성률도 높을 것으로 예상돼 관심은 삼성물산의 주총 결과에 모아진다.
이번 주총에는 합병 계약서 승인의 건 외에 현물배당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정관 개정의 건, 중간배당을 하도록 결의할 수 있는 근거를 두고 중간배당을 현물로도 할 수 있게 하는 정관 개정의 건 등 총 세 가지 안건이 상정된다.
삼성물산은 이날 주총을 위해 aT센터 내 600석 규모의 5층 대회의실과 400석 규모의 4층 중회의실 등 주주들을 위한 좌석만도 1,000석을 확보했다.
이는 기존 주총 때보다 두 배가량 늘어난 규모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안전요원도 상당수 투입되며 사안의 메가톤급 파장을 반영하듯 취재진을 위한 임시 기자실도 120석 규모로 마련된다.
삼성물산의 한 관계자는 "보통은 주총 개회 시간을 엄수하는 게 관례지만 이번에는 사안의 특수성을 감안해 현장에 온 주주들은 모두 입장을 시킬 방침"이라며 "이 때문에 실제 개회 시간은 9시30분을 훌쩍 넘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주주들은 명부 확인을 거쳐 주총의안설명서와 OMR카드 3장을 받고 주총장에 입장하게 된다. 명부 확인과 입장은 오전7시부터 가능하다.
OMR카드에는 주민등록번호와 보유주식 수, 안건에 대한 찬반 의사를 표기할 수 있는 항목이 들어가 있다.
이사회 의장인 최치훈 삼성물산 건설 부문 사장이 감사보고를 마치면 안건 부의 후 주주 의사진행발언을 거쳐 표 대결에 돌입한다. 이날 주총에는 김신 삼성물산 상사 부문 사장과 이영호 부사장 외에 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교수 등의 사외이사 4명도 자리할 예정이다.
진행요원이 주주들로부터 OMR카드를 직접 수거하며 이는 전산개표기로 집계된다. 이와 함께 한국예탁결제원에 미리 맡겨진 외국인과 소액 주주 등의 위임장까지 공개되면 최종 승자가 가려진다.
삼성물산 측은 합병 승인과 관련한 1안의 경우 오전11시~11시30분, 2·3안은 오후2시 안팎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엘리엇 측을 비롯한 일반 주주들이 이날 주총장을 치열한 갑론을박의 장으로 몰고 가면서 의사발언을 길게 이어갈 경우 폐회 시간은 훨씬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