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역학·보건의료연구소의 앤드루 스텝토 박사가 65세 이상 노인 9,050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통해 웰빙의 정도를 평가하고 평균 8.5년을 지켜본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8일 보도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웰빙 정도를 4등급으로 나누었을 때 최상위 그룹은 조사기간 중 사망률이 9%, 최하위 그룹은 29%로 나타났다고 스텝토 박사는 밝혔다.
연령, 성별, 사회경제 수준, 신체건강, 우울증, 흡연, 음주, 운동 등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감안했을 때 웰빙 최상위 그룹은 최하위 그룹에 비해 조사기간에 사망할 위험이 30% 낮고 수명은 평균 2년 긴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삶의 가치에 대한 긍정적 자세와 목적의식이 생존기간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스텝토 박사는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전문지 ‘랜싯’(Lancet) 최신호에 실렸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