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7일 오전 이마트ㆍ홈플러스ㆍ롯데마트 등 3대 대형마트 부사장급 임원 등을 불러 모아 비공개 물가대책회의를 가졌다. 이번 회의는 박근혜 대통령의 물가안정 주문에 따라 기획재정부가 출범시킨 '유통구조개선 태스크포스(TF)' 세부분과활동 차원에서 소집된 것이다.
이 자리에서 지경부는 공산품 유통구조 개선 방안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취합하는 한편 각 대형마트들의 세일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적인 가격 인하에 나서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경부는 공산품 가격 안정을 위해 앞으로 병행수입 활성화, 합리적인 소비문화 정착, 재제조품 육성 방안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 주도 물가대책을 지켜보는 각계의 시선은 다소 싸늘하다. 공산품 병행수입, 주유소 혼합판매 활성화 등 다양한 유통구조 개선사업들은 지난 정부에서도 이미 수십번씩 추진됐지만 거의 효과를 못 봤기 때문이다.
더구나 공산품의 경우 이미 판매경로가 다양하고 가격경쟁도 치열해 추가적인 인하 여력도 많지 않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대형마트 등의 관계자들도 "최근에 영업 규제 등 어려움이 있어 가격 인하가 쉽지 않다"는 의견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일단 정부의 강력한 물가안정 주문에 발은 맞추고 있지만 공공요금 인상을 주도한 정부가 민간 가격만 통제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