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부품 소재를 다시본다] 1부. 우수인력에 미래 달렸다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으로 '10만 기술대군' 양성하자"마이스터고·특성화고 등 풀뿌리 교육 기반 다지고대기업 퇴직인력 유치·산업기능요원제 연장도 필요"두뇌 유출 막기 위해선 뚜렷한 성장 비전 선행돼야" 특별취재팀 : 신경립차장(일본) klsin@sed.co.kr 서동철기자·이유미기자·김흥록기자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3','default','260');
전자부품 업체인 LS엠트론의 안양공장에는 매달 한차례씩 반백의 일본인 기술자가 찾아온다. 일본 대기업에서 오랜 제품설계 경험을 갖고 있는 그는 생산현장을 둘러보며 제조공정에서의 문제점을 꼼꼼하게 지적하고 그때그때 개선방향을 지시해 직원들의 두터운 신망을 받고 있다. LS엠트론은 지난 2007년 이후 분야별로 모두 8명의 일본 기술고문관을 영입해 수익성 향상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이들은 설계ㆍ금형ㆍ조립 등 생산공정의 기술 이전은 물론 부품검사 강화, 개인별 장구 지급, 부품관리, 작업여건 개선 등 세세한 부분까지 변화를 주도해왔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일본 기술고문 덕택에 작업 프로세스 준수율이 지난해 100% 수준에 근접하고 설계 변경횟수도 26%나 개선됐다"며 "기계부품 등 다른 분야로 기술고문관 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만성적인 기술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중소기업들은 이처럼 해외 고급인력을 유치해 부품소재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월드컵 신화를 썼던 거스 히딩크 감독처럼 숙련된 노하우와 경험을 갖춘 장인들은 기업 전체의 경쟁력 제고와 분위기 쇄신을 주도하는 '키맨'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중소기업의 인력상황은 열악할 따름이다. 지난해 중소기업청 조사에 따르면 5인 이상의 상시근로자를 보유한 중소기업의 경우 4.63명의 전문가가 부족한 것을 비롯해 기능직(2.96명), 기술직 및 준전문가(2.60명) 등 극심한 고급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평균 근속기간이 4.8년에 불과할 정도로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으며 대기업의 인력 빼가기에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때문에 일찍부터 맞춤형 교육을 통해 산업수요에 따른 전문인력을 꾸준히 양성해야 한다는 얘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과거 이율곡 선생의 10만 양병설처럼 부품소재 업계에 10만명의 기술대군을 육성해 글로벌 부품소재 강국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인 것. 정부 차원에서도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등 다양한 방식의 인력배출활동을 벌이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문계 고등학교인 마이스터고 21곳을 육성해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산업역군을 배출할 예정이며 중소기업청ㆍ농림수산식품부ㆍ특허청 등에서도 106곳의 특성화고를 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해 산학연계 맞춤형 인력 사업에 참여한 80개 학교, 2,210명의 학생과 1,007개 기업이 채용협약을 체결한 것은 물론 맞춤형 훈련과정 교육으로 모두 2,145명의 학생을 배출하며 풀뿌리 교육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중소기업 스스로 인력 투자여건을 확보하기 위한 공공기관 구매조건부사업도 더욱 확대돼야 한다. 공공기관이나 대기업 등의 수요처에서 구매 의사를 밝히고 중소기업에 공동 개발을 제안하는 구매조건부사업에 참여한 업체들은 과제당 평균 5억원에 가까운 수입대체 및 2억2,000만원의 원가절감, 5.3명의 신규고용 효과 등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퇴직인력의 중소기업 유치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대기업 퇴직자를 자회사나 협력회사로 파견ㆍ이전하는'출향(出向)'이 보편화돼 있다. 해당 대기업은 연봉차액을 보전해줌으로써 직원들의 자발적인 전직을 유도하고 있으며 전문 기술력 및 경영 노하우를 가진 인재를 유치한 중소기업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부품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거 은퇴를 앞둔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 퇴직자들의 중소기업 전직에 대한 수요가 최근 들어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전직컨설팅 업체인 DBM코리아의 김용진 대표는 "상시 구조조정이 일반화되고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본격적으로 은퇴를 하면서 대기업 퇴직자들의 중소기업 전직상담 의뢰 건수만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면서도 "복지 및 급여조건이 맞지 않아 실제 전직한 사례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에서는 1인당 300만원가량의 전직 소요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자격요건을 '고용의 불가피한 조정'에 직면한 퇴직 예정자로만 제한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의 태원유 박사는 "전직지원 장려금 지원요건을 폐지 또는 완화해 퇴직 예정자가 희망한다면 예외 없이 장려금을 지원해야 한다"며 "대기업들도 자발적으로 전직지원을 시행할 수 있도록 각종 세제혜택 및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는 2012년 폐지될 산업기능요원제도 연장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군복무 대신 연구기관 또는 산업체 등에 종사하는 산업기능요원은 지난해 말 1만4,200명이 산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경영성과를 거둔 비율이 84.5%(중소기업학회 연구결과)에 달할 정도로 큰 효과를 보고 있다.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산업기능요원제도를 일방적으로 폐지하기보다 해당 분야의 전문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계 고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등 특성화를 시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부품소재 강국을 위한 우수 인력 육성에는 무엇보다 뚜렷한 비전 제시가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주영 숭실대 벤처ㆍ중소기업학부 교수는 "중소기업은 임금과 복지 수준, 장래성에서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우수한 두뇌의 이탈을 막고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성장 가능성을 담은 비전 제시 등 지속적인 인재관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쟁력 원천, 부품소재 다시본다] 기획·연재기사 전체보기 [이런일도… 부동산시장 뒤집어보기] 전체보기│ [실전재테크 지상상담 Q&A] 전체보기 [궁금하세요? 부동산·재개발 Q&A] 전체보기│ [알쏭달쏭 재개발투자 Q&A] 전체보기 [증시 대박? 곽중보의 기술적 분석] 전체보기│ [전문가의 조언, 생생 재테크] 전체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