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C 투자증권 황성진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다만 콘텐츠의 확작성 및 광고 시장 창출여부를 감안하면 실질적 효과에 대한 평가는 다소 시간이 흐른 뒤에 가능할 것”이라며 “게임부문 분할 이후 다소 저조한 흐름인 수익성이 어느 시점에 어느 강도로 회복될것인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CJ E&M은 22일 자체제작 콘텐츠의 디지털 라이브러리 구축 등 ‘디지털 전략’,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중심의 글로벌화 및 현지화를 통한 중국 등 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을 확대한다는 ‘글로벌 전략’ 등을 발표했다. CJ E&M은 이를 통해 2018년 중장기 매출 목표를 현재의 약 2배에 달하는 2조4000억원으로 설정하고 이중 디지털 매출은 2,600억원, 해외 매출은 5,800억원 수준으로 확대시킨다는 계획이다.
황 연구원은 “장기적인 성장전략과 단기적인 수익성 회복 사이의 괴리 존재하는 상황”이라며 “수익성 회복에 대한 시그널 확인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되어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