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0대 신규 취업자 수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 고용시장의 블랙홀인 청년층 고용여건이 개선됐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청년 인턴 등 임시직 증가에 따른 착시효과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총선 선거운동 효과도 없지 않아 보인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426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1만9,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째 40만명 이상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취업자 수 증가에 따라 고용률은 58.6%로 전년 동월 대비 0.3%포인트 상승했고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 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
고용시장의 가장 큰 문제였던 청년층 고용상황도 대폭 개선됐다. 20대의 경우 지난 3월 취업자가 3만6,000명이나 증가했다. 이는 2002년 5월(4만1,000명) 이래 10년 만에 최대치다. 인구 증감 효과를 감안할 때 20대 취업자 증가폭은 6만6,000명에 달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청년층 고용률도 40.1%로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했고 청년 실업률도 8.3%로 1.2%포인트 떨어졌다.
하지만 20대 취업자 수의 비약적인 증가와 관련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공공기관의 청년 인턴 확대, 선거운동 인력 채용 등에 따라 고용기간이 한시적인 임시직만 늘어났다는 것이다.
실제 정부의 공공기관 인턴 채용은 지난해 3만2,000명에서 올해 4만명으로 늘어났고 최근 신규 채용이 잇따르고 있다. 정치권이 지난달 선거운동에 돌입하며 이에 대거 투입된 청년층이 고용지표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인턴 채용 확대와 청년 창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20대 신규 취업자 수와 자영업자가 늘어난 것이 지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청년 실업률 감소도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시험 응시 접수가 연기된 데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의 경우 고용조사가 이뤄지는 15일이 낀 주가 공무원시험 모집기간이어서 그동안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던 고시생들이 시험 접수라는 구직활동을 해 실업자로 분류됐다. 하지만 올해는 공무원 준비생이 그대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 실업자가 줄어든 것이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경기악화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고용지표가 개선되는 것과 관련해 정부는 고용시장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상목 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보건복지서비스업이나 전문과학기술업 등 경기와 무관하게 노동수요가 증가하는 분야가 있고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영향으로 50대 이상의 경제활동 참가가 확대되는 등 구조적인 변화가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