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는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팀이 무선랜 신호정보를 이용해 실내에 있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오차거리 10m 이내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을 분실했을 경우 통신사에 문의하면 위치를 알려준다. 하지만 기지국을 통한 실내 위치인식은 500~700m 범위의 오차가 있기에 분실한 스마트폰을 되찾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 기술은 실내에서 수집된 무선 랜 신호정보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주소정보를 활용했다. 이미 설치된 무선 랜 신호 중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적은 비용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한 교수는 5명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스마트 폰에 기록된 무선 랜 신호정보를 수집했다. 이들의 신호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집과 사무실에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고, 신호정보의 특성을 분석해 집과 직장을 분류했다.
연구팀은 실제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인사동 민속촌, 대전 갤러리아 백화점 주변, 대전 어은동 아파트 단지, 대전 전민동 원룸 밀집지역 등 각각 특성이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위치추정 정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데이터를 수집한 양이 전체 가구 수의 50%를 넘어서면 10m 미만의 오차를 나타내, 도심 어느 환경에서나 가구단위로 정확하게 스마트 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동수 교수는 “구글이나 애플에서 개발한 WPS(Wi-Fi Positioning System)의 경우 35~40m의 오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이 기술은 도심에 설치된 수 많은 무선 랜 중계기의 위치정보 없이도 스마트폰의 정확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nbgkoo@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