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경락률(감정가 대비 낙찰가율) 초과 대출자는 전체의 3.8%에 해당하는 19만명이다. 이들의 대출규모는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3.3%인 13조원에 달한다. 금융당국이 전국 주택을 대상으로 깡통주택 실태를 파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 들어 지난 10월까지 전국 주택의 평균 경락률은 76.4%다. 1억원짜리 아파트가 경매에 넘어갔을 때 7,640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경락률을 초과해 돈을 빌렸다는 것은 집이 경매에 넘어가면 집을 팔아도 빚을 다 갚지 못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경락률 초과 대출은 수도권이 18만명(12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지방은 1만명(8,000억원)이었다.
상환능력이 떨어져 앞으로 주택담보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저신용∙다중채무자도 23만 명에 달했다. 9월 말 기준 신용등급 7등급 이하로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사람은 전체 주택담보대출자의 4.1%에 해당하는 23만명, 대출규모는 4.8%인 25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대부분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권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신용 다중채무자는 이미 상환능력이 떨어진데다 고금리 대출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집값이 추가 하락할 경우 상환불능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주택가격 하락세 속에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한도를 훨씬 넘긴 대출도 지속적으로 늘었다.
은행권의 LTV 70% 초과 대출은 2010년 말 7조5,000억원에서 2011년 말 7조9,000억원, 올 9월 말 8조3,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은행권의 LTV 한도는 50%다.
이번 결과를 토대로 금감원은 이달부터 고위험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정밀검사에 나설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