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A씨는 웹 서핑을 하다가 모 학원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사진과 함께 현 회사에 취업한 사실이 버젓이 공개 돼 있는 것을 확인하고 경악했다. 취업 전 해당 학원을 찾아가 무료 채용 면접 상담을 받았는데 학원의 합격자 홍보에 이용된 것이었다. A씨는 정보 공개에 동의한 적이 없었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터넷 직거래 등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인터넷상의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개인정보보호 규제가 강화되면서 주민등록번호의 노출은 주는 추세이지만 여권번호·계좌번호 등 다른 정보들이 여러 개인 게시물에 의해 지금도 웹 상에 매일 쏟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국내·국외 웹사이트 주민등록번호 노출 확인 건수는 각각 1만8,629건·1,631건으로 집계됐다. 주민등록번호 유출 건수로만 보면 지난 2012년 7만3,679건(국내)·8,497건(국외)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지만 유출 대상 정보와 노출 장소 등은 확대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부가 직접 개인 정보 삭제 작업을 하고 있다. 방통위와 인터넷진흥원 등에 따르면 최근 들어 국내 250만개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 중국, 미국 등 45개국 해외 웹사이트에 노출된 한국인의 주민등록번호를 검색·삭제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다른 개인정보의 경우 웹 상 여기저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일례로 최근 발생한 인천 어린이집 폭행 교사의 경우 사건이 알려진 지 불과 수 시간 만에 얼굴 사진, 전화번호 등 여러 신상정보가 삽시간에 퍼졌다. 대부분 SNS, 인터넷 게시물에 본인과 그와 관련된 기관에서 별 생각 없이 올린 정보들이었다.
한마디로 SNS, 인터넷 직거래 등이 보편화 되면서 상당수의 사람들이 전화번호, 얼굴 사진, 신분증 인증 사진 등을 인터넷에 노출하고 있다. 평범한 사람이라도 의도치 않고 올렸다가 잊어버린 개인정보들로 인해 언제든 2차 범죄의 대상으로 떠오를 수 있다.
노출 정보가 확대되면서 정부 역시 지난해부터 검색·삭제 대상을 주민등록번호 하나에서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외국인등록번호, 건강보험번호, 계좌번호, 카드번호, 휴대전화번호 등 8개 항목으로 확대한 상태다. 한 보안 전문가는 "회원 가입 시 기재하는 개인정보를 줄이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며 "개인정보에 대한 의식도 전반적으로 높아져야 한다"고 충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