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수출과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에 의한 취업유발인원수는 1990년 360만명에서 지난 2012년 600만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총 취업자수 중 비율도 22.5%에서 25.9%로 높아졌다. 수출 단위당 일자리 창출능력은 1990년 10억원당 58.6명에서 2012년 7.7명으로 줄었지만, 전체적인 수출 확대가 수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유지했다는 것이 국제무역연구원의 분석이다. 1990년에서 2013년 사이 평균 실질 수출증가율은 11.6%로 경제성장률(5.4%), 소비성장률(4.7%), 투자성장률(4.8%)를 크게 웃돌았다.
보고서는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10억원당 9.9명으로 대기업(2.8명)보다 훨씬 많다는 통계청의 자료를 인용,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장려하는 등의 정책을 통해 수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더 늘려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