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 이후 비상대책팀을 조성, 운영하고 있는 정부는 일단 깊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핵실험 당일에는 주식ㆍ금융시장이 요동을 쳤으나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국제 금융ㆍ원자재시장도 별다른 동요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미사일 발사 등 과거 북핵 사태 때도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환율 급등락 등의 두드러진 시장 동요가 없었는데 현 추세라면 별다른 파급효과 없이 잘 마무리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엿보인다. 이 같은 열망을 반영하듯 10일 런던시장 종가 기준 만기 14년물 외평채 가산금리는 전달(72bp)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국제금융시장 대책팀을 총괄하고 있는 김성진 재경부 차관보는 “경제 전반에 대한 부정적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시장 불안감 확산 방지를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폭풍 전야의 고요함이랄까. 안도를 하면서도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북한의 2차 핵실험 가능성이 상존해 있는데다 UN 등 국제사회의 대북한 제재 수위가 결정되지 않다 보니 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UBS는 핵실험 이후 ‘원화’가 명백한 피해자라고 평했으며 일부 외국 분석기관에서는 외국자본 유출 가능성도 전망하는 등 해외에서는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팽배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거꾸로 이는 앞으로 상황 전개에 따라서는 어떤 사태가 발생할지 모름을 암시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부정적 해외시각이 팽배해지면서 국제 채권은행으로 하여금 채권인출 요구로 이어져 외평채 가산금리가 상승하면서 외환위기 때와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정부 일각에서는 감지되고 있다. 아울러 해외 부동산 취득이 급증하는 등 국내 자본의 탈한국화 가능성도 상존해 있다. 황건일 재경부 외환제도혁신팀장은 “지난 9월 해외 부동산 취득 현황을 잠정 집계한 결과 8월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하지만 국내 자본의 유출은 10월 통계가 나오는 11월에나 가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재경부를 주축으로 경제부처는 10일에도 비상대책팀별로 수차례 회의를 갖고 동향을 체크했다. 하지만 ‘긴장이 완화되는 시점’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정부도 예측할 수 없다는 답변을 내놓고 있는 상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