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브러더스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잇따라 파산을 신청하자 국내 은행 등 금융회사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금융감독당국과 각 금융회사들은 “우리나라와 미국은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한다. 미국처럼 부동산에 대한 과다한 대출이 없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등 파생상품 투자규모가 미미하며 부실규모가 작은데다 손실을 흡수할 만한 자본력을 충분히 갖췄다는 입장이다.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이 안고 있는 문제로는 외화 유동성 부족, 키코 등 통화파생상품 손실확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비용 증가로 인한 수익성 악화의 문제일 뿐 금융회사의 존립 자체를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다만 국내 금융시스템의 불안이 장기화되면서 중소기업 부도, 부동산 PF 부실, 건설사 등 중견그룹 도산 등으로 이어질 경우 은행의 자산건전성이 심각한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됐다. ◇우리는 미국과 달라=금융감독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확산이 국내 금융회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금융회사의 외화 유동성 상황과 연체율 추이 등을 지켜보고 있다”며 “아직까지는 어떤 대책이 필요할 정도로 달라진 게 없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은행들은 부동산에 대해 엄격한 대출한도(DTI)를 적용받고 있기 때문에 부실을 충분히 흡수해낼 수 있다”며 “미국 금융회사와 달리 국내 금융회사는 유동성과 건전성이 양호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도 국내 금융회사의 부실이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68%로 낮고 PF 비중도 총 대출의 4.4% 수준에 불과해 손실흡수능력은 189%로 100%를 넘는다”며 “국내 부동산 금융은 미국과 달리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어 부실이 확산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외화 유동성 부족, 부동산 PF, 중기 대출 등은 걸림돌=글로벌 금융위기 확산에 따른 국내 금융회사의 부도 가능성은 낮지만 모든 부실 가능성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우선 과도한 외형경쟁과 위험관리능력 약화로 유동성 문제가 커지고 있다. 시중자금이 은행 예금을 떠나 자본시장으로 옮겨가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대출확대를 통한 외형경쟁에 나선 데 따른 후유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인수합병(M&A) 등에 과도하게 자금을 집행한 것에 대한 부작용도 우려된다. 당장은 단기 외화자금 조달이 막혀 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필요한 만큼 외환보유고를 풀겠다”고 밝혔지만 외환시장의 유동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 한 시중은행의 자금담당 부행장은 “리먼이 부도가 나면서 금융회사 간 신뢰가 무너지자 달러 흐름이 막혔다”며 “자금부족 현상이 해결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장불안 확산되면 자산건전성 떨어뜨릴 수 있어=국내 금융회사들은 ▦키코 등 통화파생상품 계약 부실 ▦부동산 PF 연체 증가 ▦서비스업 대출 연체 ▦중소기업 대출 부실 ▦신용카드 연체율 증가 ▦가계부실 증가 등 여러 부실 요인을 안고 있다. 정부와 은행이 적극 나서서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되찾아야 하지만 정부나 은행이나 대응할 수 있는 도구가 많지 않다. 국내 금융시장 불안으로 금리와 환율이 오르고 은행 예금 이탈로 은행 유동성이 나빠지는 상황에서 해외 금융시장 불안으로 해외 조달 여건까지 악화된다면 중소기업의 부도가 늘고 부동산 미분양의 증가로 중견 건설회사도 무너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은행의 자산건전성도 악화될 수밖에 없다. 한 지방은행 부행장은 “은행들은 최근까지 자산을 늘리면서 추가로 발생되는 부실을 감춰왔다”며 “분모가 커지면서 연체율이 줄어드는 착시현상이 나타났지만 앞으로는 외형확대가 어렵게 되면서 숨어 있던 연체율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